진행중

"경주 능지탑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0번째 줄: 40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불탑이 세워졌던 자리로 추정되는 곳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
이곳에 남아 있는 것은 능지탑이라고 불리는 탑의 기단과 1층 몸돌부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본래 기단 사방에 십이지신상을 새기고 연꽃으로 장식한 석재로 탑신을 구성한 5층 이상의 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원래 5층 이상의 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너진 채 기단과 1층 몸돌부 일부만 돌무더기처럼 방치되어 있었는데, 1969-1971년에 4차에 걸쳐 발굴조사한 후, 1979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발굴 당시 소조불상의 조각들과 많은 양의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어, 탑 사방에 감실을 만들어 불상을 모셨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탑 주변에는 정비할 때 사용하고 남은 연화문 석재 36개가 쌓여 있고, 토단 유구 1기는 아직 무엇인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1969년부터의 조사를 거쳐 1979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
기단은 직사각형의 석재를 3단으로 쌓은 후 흙을 덮고 잔디를 심었다. 기단 각 면의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석재가 3개씩 기둥처럼 세워져 있는데, 이중 9개에는 십이지신 1구씩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기단 위에는 직사각형의 석재를 4단으로 쌓고 연화문 석재로 장식하였으며, 지붕 형태로 흙을 쌓았다.  
  
돌을 다듬어 단을 만든 후 흙을 덮고 잔디를 심어 기단부를 조성하면서 십이지신상 9구를 방위에 맞게 안기둥처럼 세웠다. 기단부 위에는 받침돌을 한 단 더 올린 후 흙을 쌓아 위를 마감하였다.  
+
이곳은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의 화장터로 추정되기도 한다. 기록에 의하면 문무왕은 자신이 죽으면 10일 뒤에 왕궁 밖 뜰에서 검소하게 화장하고 동해에 장사지내라고 유언하였다고 한다. 탑에서 남쪽으로 약 1km 떨어진 사천왕사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되었다. 문무왕의 무덤은 바다에 있는 바위로 대왕암이라 불리며, 세계에서 유일한 수중 무덤이다.  
  
발굴 중 소조불상의 파편과 다량의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어 불상을 모시기 위한 감실도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
*[[경주 문무대왕릉]] 참고
  
탑에서 가까운 곳인 사천왕사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을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의 화장터로 추정하기도 한다.
+
=='''참고자료'''==
 
 
*기단부 면석에 사용된 십이지신상은 호랑이, 용, 뱀을 제외한 9구이다.
 
 
 
==참고 자료==
 
 
*신라고분 기초학술조사연구 IV-석조물자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7.
 
*신라고분 기초학술조사연구 IV-석조물자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7.
  

2020년 6월 14일 (일) 09:32 판


경주능지탑지
Neungjitap Pagoda Site, Gyeongju
경주 능지탑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능지탑지
영문명칭 Neungjitap Pagoda Site, Gyeongju
한자 慶州陵只塔址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621-1
지정번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34호
지정일 1982년 8월 4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역사사건/역사사건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경주 능지탑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능지탑은 예로부터 능시탑(陵屍塔) 또는 연화탑(蓮華塔)으로 불려왔다. 신라삼산조사단(新羅三山調査團)이 1969년부터 수차례 조사한 후, 1979년에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원래는 기단 사방에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을 세우고 연화문 석재로 탑신을 구성한 5층탑으로 추정된다. 발굴 중에 소조불상*의 파편과 많은 양의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어 탑 사방에 감실*을 만들어 불상을 모셨던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다듬은 돌로 석단을 쌓고 윗면은 흙을 덮고 잔디를 심었다. 둘레에는 12지신상 9구를 방위에 맞게 안기둥처럼 세웠는데, 12지신상 중의 8구는 낭산 동쪽 황복사지(皇福寺址) 앞에 있는 미완성 왕릉터에서 옮겨온 것임이 확인되었다. 탑신부는 기단부와 같은 형식인데 위쪽에 굄돌을 한 단 더 올리고 지붕을 사모지붕처럼 흙을 쌓아 마감하였다.

현재 탑 주변에는 정비하면서 사용하고 남은 연화석 36개가 쌓여 있고, 그 옆에 성격이 밝혀지지 않은 토단 유구가 남아 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은 임종 후 10일 내에 왕궁 밖 뜰에서 검소하게 화장하라고 유언하였는데, 탑에서 가까운 곳인 사천왕사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문무왕의 화장터로 추정하기도 한다.


  • 소조불상(塑造佛像): 흙을 빚어 만든 불상
  • 감실(龕室): 불상이나 신주, 성체 등을 모시기 위해 벽을 깊이 파서 만든 공간

영문

Neungjitap Pagoda Site, Gyeongju

영문 해설 내용

이곳에 남아 있는 것은 능지탑이라고 불리는 탑의 기단과 1층 몸돌부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원래 5층 이상의 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너진 채 기단과 1층 몸돌부 일부만 돌무더기처럼 방치되어 있었는데, 1969-1971년에 4차에 걸쳐 발굴조사한 후, 1979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발굴 당시 소조불상의 조각들과 많은 양의 기와 조각들이 출토되어, 탑 사방에 감실을 만들어 불상을 모셨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탑 주변에는 정비할 때 사용하고 남은 연화문 석재 36개가 쌓여 있고, 토단 유구 1기는 아직 무엇인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기단은 직사각형의 석재를 3단으로 쌓은 후 흙을 덮고 잔디를 심었다. 기단 각 면의 가운데에는 사각형의 석재가 3개씩 기둥처럼 세워져 있는데, 이중 9개에는 십이지신 1구씩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기단 위에는 직사각형의 석재를 4단으로 쌓고 연화문 석재로 장식하였으며, 지붕 형태로 흙을 쌓았다.

이곳은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의 화장터로 추정되기도 한다. 기록에 의하면 문무왕은 자신이 죽으면 10일 뒤에 왕궁 밖 뜰에서 검소하게 화장하고 동해에 장사지내라고 유언하였다고 한다. 탑에서 남쪽으로 약 1km 떨어진 사천왕사지에서 문무왕릉비 조각이 발견되었다. 문무왕의 무덤은 바다에 있는 바위로 대왕암이라 불리며, 세계에서 유일한 수중 무덤이다.

참고자료

  • 신라고분 기초학술조사연구 IV-석조물자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