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순화리 삼층석탑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이 탑은 예로부터 탑 주변에서 상당량의 암막새와 평기와편, 회청색 경질토기편이 발견되어 옥천사지(玉泉寺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탑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정교하고도 수준이 높고, 이중으로 된 넓은 받침대와 웅장한 1층의 몸체는 안정감이 있으며, 2층부터는 몸체의 크기가 급격하게 줄어 날렵한 느낌을 준다. 각 층 몸체에 새긴 기둥문양이 뚜렷하며, 각 층의 덮개돌은 백제탑 양식을 따라 완만한 경사를 보인다. 그러나 간략하게 처리한 맨 위의 덮개돌은 신라말기의 석탑양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탑의 총 높이는 5.8m이고, 지면에서 지대석 까지는 약 1.3m이다.

수정 국문

초고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이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근방에서 기와 및 그릇 파편들이 발견되고 있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탑은 화강암으로 조성하였으며 탑의 기단부 지대석은 서북쪽의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고 다른 부분은 땅에 묻혀 있다.

탑의 전체적인 형태와 기둥, 옥개석 등에서 지역적인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백제 양식의 모형이 나타난다. 그러나 상륜부에는 신라 시대의 누각 난간을 모방하여 새긴 흔적도 보인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정교하고 수준이 높은 작품이다.

1차 수정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에서 기와와 그릇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2층으로 된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정교하고 수준이 높은 작품이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 ‘~ 사리를 ~’
    • ‘주변에서 기와와 그릇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탑이 자리한 곳은 옥천사의 터라는 구전이 있으며, 주변에 많은 수의 기와와 그릇 조각이 발견되고 있어, 큰 사찰이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 ‘2층으로 된 기단,’ → 매몰 부분으로 기단 층수 알 수 없음.
    • 기존문안의 양식 설명을 참고하여 수록할 필요 있음.
  2. 분야별 자문위원 2
    • 불탑은 부처의 사리 즉 유골을 모신 건축물로, 불상과 함께 예배의 대상이자 그 자체가 불심 혹은 부처를 뜻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 탑이 원래 서 있던 터에서 백제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근처가 당시 절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2층의 기단, 3층의 몸돌과 3개의 지붕돌로 이루어진 삼층석탑이다. 특히 얇고 널따란 지붕돌은 처마 끝이 살짝 들려 곡선을 이루고, 밑면의 받침은 5단으로 되어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윗돌을 괴기 위한 높은 단을 두고 있다. 지붕돌의 형태가 고려전기 석탑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백제지역 특유의 우아한 곡선미가 느껴진다.
  3.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 삭제해도 무관할 것으로 생각됨. 부기해야 한다면 추가 설명 개념으로 아래쪽에 간략히 서술하며, ‘불탑’ 보다는 ‘석탑’의 정의를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함.
    • 화강암으로 만든 이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 시대 편년은 현상 설명 후 마지막 문단에 하는 것이 바람직함. 석탑 높이, 크기, 결실 부재 등을 언급할 필요가 있음
    • 주변에서 기와와 그릇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 석탑이 있는 순창여중 일원이 예전 ‘옥천사지’라 구전되는 절터였다는 것을 명기할 필요가 있음. 또한 지금도 주변에서 고려시대 기와편을 비롯한 유물이 발견된다는 점도 부기 필요.
    • 2층으로 된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 기단은 현재 1층만 남아 있지만 아래가 매몰되어 있어 이중기단인지, 단층기단인지 명확히 알 수 없음.
      •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은 정확한 표현이 아니며, ‘석탑이 3층이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온당함.
      • ‘머리장식’이라는 표현이 맞는지, ‘머릿돌’이라 하는 것이 맞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상륜부’라는 전문 용어를 부기할 필요가 있음. 또한 부재가 전부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남은 것이므로 이 역시도 명확히 표현해야 함.
    • 화려하지는 않지만 매우 정교하고 수준이 높은 작품이다.
      • 정교하고 수준이 높다는 주관적이고 상투적인 표현 지양 요함.
      • 석탑의 양식적 특징(지붕돌 상면-낙수면이 거의 편평하리만치 완만한 점, 1층 탑신석이 지나치게 높고 2, 3층부터 급격히 작아지는 점)이 백제계 석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언급해야 함. 또한 이러한 양식적 특징을 토대로 고려시대 작품으로 판단된다는 편년 근거를 제시해야 함.

2차 수정

불탑은 부처의 사리, 즉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탑이 자리한 곳은 옥천사(玉泉寺)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지금도 주변에서 기와와 그릇 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부근에 큰 사찰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얇고 널따란 지붕돌은 처마 끝이 살짝 들려 있어 우아한 곡선미가 느껴진다. 탑의 총 높이는 5.8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