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8월 26일 (월) 03:1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내소사설선당과요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1250000 내소사 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한자 來蘇寺 設禪堂과 寮舍
주소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125호
지정일 1986년 9월 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우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설선당은 스님과 일반 신도들의 수행 장소이며, 요사는 스님들이 생활하는 곳이다. 내소사 경내의 설선당과 요사는 조선 인조 18년(1640)에 청영대사가 지은 것이다. 설선당 동쪽 한 칸은 마루이고 남쪽 2칸은 부엌이며 아궁이 시설이 있다. 요사는 2층 구조로 1층에는 스님들이 생활하는 방과 식당이 있고, 2층에는 저장 공간이 있다.

두 건물은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지붕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였다. 건물 가운데에 마루와 우물을 둔 회(回) 자 형의 공간구성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Seolseondang Hall and Monks’ Living Quarters of Naesosa Temple

Seolseondang Hall and monks’ living quarters were built in 1640. From the front, Seolseondang is on the left and the monks’ living quarters is on the right.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ming a unique square layout.

Seolseondang consists of a kitchen and two meditation rooms for monks and lay followers. The monks’ living quarters has two floors: monks’ rooms and dining rooms on the first floor and a storage space on the second floor. The second floor of this building has many windows for better ventilation. On the rear side, where these two buildings are connected, is a wooden-floored hall.

영문 해설 내용

설선당과 요사는 1640년에 지은 것으로,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이 설선당이고 오른쪽이 요사이다. 두 건물이 서로 이어져 독특한 ㅁ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설선당은 스님과 일반 신도들이 수행하는 방과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다. 요사는 2층 구조로, 1층에는 스님들이 생활하는 방과 식당이 있고, 2층에는 각종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벽면에 창을 여러 개 설치해서 환기가 잘 되도록 하였다. 뒤편의 두 건물이 연결되는 곳에 마루를 설치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