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6월 3일 (월) 10:5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산청심적정사석조불상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3100000 산청 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
한자 山淸 深寂精寺 石造佛像群
주소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꽃봉산로133번길 15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6년 3월 1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소유자 심적정사
관리자 심적정사
수량/면적 21구
웹사이트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산청 심적정사 석조불상군은 조선 초에 만들어진 21구의 불상이다. 원래는 신라 경순왕 3년(929) 산청읍 내리에 세운 심적사에 있었으나 한국 전쟁 때 절이 불타면서 삼봉산의 동룡굴에 잠시 모셔두었다. 이후 지금의 자리에 심적정사를 다시 짓고 나한전을 세우면서 불상군을 옮겨왔다.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나한상* 15구, 보살상 1구, 신장** 2구, 문인석*** 2구 등이 있다. 이 중 나한상은 다양한 자세와 표정으로 생동감 있는 고려시대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움츠린 어깨와 두터운 옷에서는 조선시대에 변화한 불상의 모습이 확인된다. 원래는 22기의 불상이 있었는데, 1기는 한국 전쟁 때 분실되었다고 한다.

심적정사 석조불상군은 순박하고 생동감 넘치는 고려시대 나한상의 계보를 잇는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우리나라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 한 스님이 22구의 나한상을 가지고 잦은 난리를 피해 가던 중 지금의 내리에서 잠깐 쉬어가게 되었다. 스님은 불상을 잠시 두고 마을에 갔다 돌아왔는데 불상이 모두 사라져 찾을 수 없었다. 주위에 남은 흔적을 따라가니 심적사 뒤편 절벽에 모여있는 불상을 보았고, 이를 이상하게 여긴 스님은 그곳에 나한암을 지어 불상을 모셨다고 한다.

한 해 겨울 폭설로 교통이 끊기고 음식과 불씨마저 떨어진 채 암자를 지키던 한 스님이 동짓날 아침에 일어나 부엌에 들어갔더니 팥죽 한 그릇이 놓여있고 불씨도 피어 있었다. 놀란 스님이 불당에 들어가 주위를 살펴보니 한 불상의 입술에 팥죽이 묻어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상하게 생각한 스님은 겨울을 보내고 봄에 마을로 내려가게 되었는데 그때 한 신도에게서 지난 동지에 나한암에서 온 한 스님에게 팥죽과 불씨를 내어주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야기를 들은 스님은 지난 동짓날 아침에 있었던 일을 떠올렸고 입가에 팥죽이 묻은 나한부처가 한 일임을 깨닫고 암자로 돌아와 더욱 부처님을 알뜰히 모시며 불심을 굳혔다고 한다.


  • 나한(羅漢): 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경지의 부처
  • 신장(神將): 불법을 지키는 장수신
  • 문인석(文人石): 문관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