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2월 5일 (화) 15:4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대표명칭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한자 完州 松廣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塑造十六羅漢像 一括
지정번호 보물
지정일 2021년 6월 23일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시대 1656년(효종 7년)
수량/면적 27구(불상3, 나한16, 좌우제석천2, 용녀1, 동녀1, 사자2, 장군2), 발원문 7점
웹사이트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은 1656년(효종7년)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당시 제작된 나한상 중 수량과 규모면에서 가장 큰 작품이다. 이 작품은 뛰어난 조각 기술과 더불어 불상에 금칠을 하거나 채색할 때 당시 유행했던 기법과 작가의 개성이 잘 드러나 작품성도 뛰어나다. 특히 조각하는 승려와 채색하는 승려 간의 협업 체계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영역이 다른 화원들이 어떻게 협업 관계를 구축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도 주목된다.

이처럼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은 송광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조각승들의 활동과 제작 방식 등을 밝힐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에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