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2월 5일 (화) 15:3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완주대각사금강경천로해정진주.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269000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한자 完州 大覺寺 金剛經川老解鄭震註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
지정일 2020년 7월 31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책
웹사이트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는 대표적인 불교 경전으로 대승불교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는 인도의 승려 구마라집(344~413)이 한문으로 번역한 금강경을 송나라 승려인 천로(야보도천 冶父道川)가 주해와 게송을 달고, 송나라 학자인 정진이 추가로 주해한 합주본이다. 이 합주본은 1426년(세종 8년) 경상도 장수산에 소재한 무주암(無住庵)에서 유일하게 간행한 목판본으로 간행 연대와 간행 사찰이 명확하고, 동아시아 어디에서도 확인된 바 없어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완주 대각사 금강경천로해정진주는 복장 유물로 있다 근래 다시 제책하였고, 일부 훼손된 부분을 보수하여 전체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게송: 불교계에서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의 한 형태
  • 주해: 본문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함
  • 제책: 인쇄된 낱장 종이를 순서대로 추려 책으로 만드는 일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