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화순 학서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1월 9일 (목) 20: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학서도
대표명칭 학서도
한자 鶴棲島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39-1
지정번호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85호
지정일 2022년 11월 3일



해설문

국문

이곳은 고려시대 국사를 역임했고 송광사 2대 주지였던 화순 출신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의 탄생 관련 유적지이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기록되기를 배씨 성을 가진 처녀가 남산 아래 샘(자치샘)에 떠 있는 오이를 먹고 아들을 낳아 이곳에 버렸는데 학이 아이를 날개로 덮어 키워주었다 해서 이곳을 『학서도』라 했다.

이 곳 학서도는 1871년에 제작된 화순읍 지도를 보면 석불과 함께 큰 언덕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로 보아 학서도는 석불을 포함한 넓은 지역으로 추정되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변한 것이다.

학서도에는 원래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었다고 전하는데 1927년 불이 나서 느티나무는 불에 타 없어지고 다시 느티나무를 심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현 정자는 1997년 5월에 건립하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학서도는 고려시대의 승려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의 탄생 설화와 관련한 유적지이다. 화순 출신인 혜심은 고종(재위 1213-1259)이 최고의 법계인 대선사에 제수했을 정도로 크게 존경 받는 고승이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혜심의 어머니는 배씨 성을 가진 처녀로, 남산 아래에 있는 자치샘에 떠 있는 오이 2개를 먹고 혜심을 낳았다. 처녀는 갓난 아기를 이곳에 버렸는데 학이 날아와 아이를 날개로 덮어 보호해주었고, 이를 기이하게 여겨 처녀는 아이를 다시 데려와 길렀다.

이곳의 이름이 왜 학서도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 이곳에 있는 정자는 1997년에 지어졌다.

  • 원래 강에 있는 섬이었는데 물길이 바뀌면서 평지가 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하지 않음. Island로 할 수 없어서 명칭에 대한 고민 필요.

갤러리

참고자료

  • 『비변사 인 방안 지도』 「화순현」, 디지털화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ks.ai/GC05600378

주석

  1. 和順郡地圖: 儀軌圖,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지도 컬렉션. https://library.korea.ac.kr/oldmap/?id=46150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