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완주 송광사 일주문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1월 1일 (수) 10:0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송광사일주문.jpg |사진출처=[http://aks.ai/GC07000409 송광사 일주문], 디지털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송광사 일주문
송광사 일주문, 디지털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송광사 일주문
한자 松廣寺 一株門
주소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호
지정일 1971년 12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송광사 일주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송광사 일주문은 사찰의 첫 대문으로 속세와 불계의 경계 역할을 한다. 원래 대웅전으로부터 약 3㎞ 떨어진 ‘나드리’라는 곳에 세워졌던 것인데 송광사의 영역이 축소됨에 따라 순조 14년(1814)에 조계교(曹溪橋) 부근으로, 이후 현 위치로 옮겨 세운 것이다.

송광사 일주문은 2개의 원기둥을 나란히 세우고 앞뒤에 연꽃무늬를 장식한 보조기둥을 세워,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고 단정한 모습을 보인다. 원기둥 위로는 지붕선이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을 올렸으며, 지붕을 받치기 위한 공포는 다포 양식으로 용 머리 조각 등을 하여 조선 중기 이후의 화려한 장식 기법을 엿볼 수 있다.

일주문 앞면 중앙에는 ‘종남산송광사(終南山松廣寺)’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