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해남 성내리 수성송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0월 1일 (일) 13:2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해남성내리수성송.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63604300000 해남 성내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남 성내리 수성송
Suseongsong Pine Tree in Seongnae-ri, Haenam
해남 성내리 수성송,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해남 성내리 수성송
영문명칭 Suseongsong Pine Tree in Seongnae-ri, Haenam
한자 海南 城內里 守城松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성내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430호
지정일 2001년 9월 11일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문화역사기념물/기념
수량/면적 1주/900㎡
웹사이트 해남 성내리 수성송,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해남 성내리 수성송은 곰솔로 나이는 400여 살로 추정되며, 높이는 약 17m이고, 가슴높이의 둘레는 약 3.4m이다. 해남군청 광장에 서 있다. 곰솔은 소나무과에 속해 있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이라고 하고, 또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보통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조선 명종 10년(1555) 을묘왜변 당시 왜구들이 배 60여 척으로 달량진(지금의 남창리)과 완도군의 달도에 침략한 일이 있었는데, 이 때 해남현감 변협(邊協)이 이끄는 관군이 어렵게 왜구를 물리쳤고, 그 공으로 장흥부사로 승진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당시 해남 동헌 앞뜰에 이 나무를 심고 "수성송(守城松)"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나무는 굵은 외줄기에 가지가 여러 개로 나뉘어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해남성 수성의 전설을 간직한 아름답고 생육상태도 양호한 나무로 문화 및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해남군청 광장에 서 있는 이 나무는 곰솔로 나이는 400년 이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곰솔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고,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

이 나무는 “성을 지키는 소나무”라는 뜻의 수성송이라고 불린다. 1555년 을묘왜변 당시 왜구들이 배 60여 척으로 달량진(지금의 해남 남창리)과 완도군의 달도에 침략한 일이 있었다. 이 때 해남성에 있던 현감 변협(1528-1590)이 이끄는 관군이 왜구를 물리쳤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당시 해남 동헌 앞뜰에 이 나무를 심고 수성송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나무의 높이는 약 17m이고, 가슴 높이의 둘레는 약 3.4m이다. 굵은 외줄기에 가지가 여러 개로 나뉜 모습이 매우 아름답고 생육상태도 양호하다. 문화 및 학술적 가치가 뛰어나 2001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