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릉(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9월 18일 (월) 11:39 판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공주 무령왕릉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위도= |경도= }} =='''해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주 무령왕릉
Goto.png 종합안내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해설문

국문

백제 제25대왕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를 합장한 무덤이다. 1971년 5호분과 6호분 배수로 작업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무덤은 중국 남조에서 유행하던 벽돌무덤(塼築墳)으로, 널방은 연꽃무늬를 새긴 벽돌로 쌓았다. 벽면에는 등잔을 올려놓았던 등감(燈龕)과 창문시설을 설치하였으며, 남북 길이 4.2m, 동서 너비 2.72m, 높이 2.93m이다. 널길의 입구에서 출토된 지석(誌石)은 무덤의 주인공과 무덤을 만든 연대를 말해주고 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 있는 무덤 중에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것으로, 무령왕과 왕비의 금제관장식을 비롯하여 총 108종 4,6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였다.

  • 벽돌무덤(塼築墳): 구운 벽돌로 만든 무덤이라는 뜻으로 전축분(塼築墳)이라고도 함.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백제 제25대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를 합장한 무덤이다. 1971년 5호분과 6호분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배수로를 놓는 공사를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무덤은 중국 남조에서 유행하던 벽돌무덤이다. 널방은 연꽃무늬를 새긴 벽돌로 쌓았고, 남북 길이 4.2m, 동서 너비 2.72m, 높이 2.93m이다. 벽면에는 등잔을 올려놓았던 등감과 창문 모양 장식을 설치하였다. 널길의 입구에서 출토된 2매의 지석에는 무덤의 주인공과 무덤을 만든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 있는 무덤 중에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것으로, 무령왕과 왕비의 금제관장식을 비롯하여 총 108종 4,6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였다.

갤러리

송산리고분군, 백제역사유적지구 3차원 기록화 구축 및 활용. http://3d.baekje-heritage.or.kr/01/App_CCWebViewe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