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울산 신흥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8월 14일 (월) 14:4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울산신흥사.jpg |사진출처=[http://sinheungsa.co.kr/intro_03.html 도량소개], 신흥사 홈페이지. |대표명칭=신흥사 |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흥사
新興寺
도량소개, 신흥사 홈페이지.
대표명칭 신흥사
영문명칭 新興寺
주소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4길 280(대안동)
웹사이트 신흥사 홈페이지



해설문

국문

신흥사는 울산 대안동 동대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의 말사*이다. 문두루* 비법으로 당나라 군대를 물리쳤던 명랑대사가 신라 635년(선덕여왕 4)에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창건 당시의 이름은 나라의 태평과 백성의 평안을 위한다는 뜻인 ‘건흥사(建興寺)’였다고 한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신흥사 위쪽 기박산성을 중심으로 울산의병이 일어났는데, 당시에 신흥사 주지였던 지운스님이 왜군의 침략에 맞서 승병* 활동을 활발하게 펼쳤던 호국사찰이다. 이후 1597년 정유재란 때 왜군에 의해 사찰이 소실되었으나, 1646년(인조 24)에 나라의 지원을 받아 경상좌병영 병마절도사* 이급(李伋)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그로부터 3년 뒤인 1649년에는 현재 대웅전*에 모셔진 석조아미타여래좌상이 조성되었다. 뒤이어 1686년(숙종 12)과 1752년(영조 28)에 각각 도량을 중창하였는데, 대웅전 맞은편 신성루(神成樓)에 병마절도사 이상국(李相國)이 1757년에 쓴 현판 글씨가 걸려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뒤에도 사찰 재건이 계속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872년에 그려진 신흥산성도(新興山城圖)에서는 신흥사와 더불어 부속 암자인 낙서암(樂西庵), 염불암(念佛庵), 내원암(內院庵)을 함께 볼 수 있는데 이로써 국가 호국사찰로서의 규모와 군사지정학적 중요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998년에는 현재의 대웅전을 새로 지으면서 원래 대웅전으로 쓰이던 건물은 왼쪽으로 옮기고 이름을 응진전*으로 바꾸었는데, 옛 대웅전이란 뜻으로 ‘구(舊) 대웅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응진전은 신흥사에서 가장 오래된 전각으로 조선 후기 건축양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말사(末寺):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본사 중 하나에 소속된 사찰
  • 문두루(文豆婁): 여러 가지 손 모양을 짓는 불교 의식인 ‘무드라(Mudra)’에서 소리를 따온 말로서 수인(手印) 또는 신인(神印)이라 번역하며 명랑대사가 신라에 침입해 오는 당나라 군사를 물리치려고 사용한 비밀스러운 의식
  • 승병(僧兵): 임진왜란 당시 호국 정신과 백성에 대한 연민으로 스님들이 주도한 의병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선시대 각 도의 군사를 효율적으로 지휘하려고 설치한 종2품 관직
  •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을 모신 전각, 또는 사찰의 가장 중심적인 전각
  • 응진전(應眞殿): 깨달음을 얻은 16분 또는 18분의 아라한을 모신 전각. 아라한이란 인도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에서 소리를 따온 말로, 깨달음을 얻어 진리에 합하였다는 뜻으로 응진(應眞), 또는 응당히 공양을 받고 만인에게 이익을 줄 수 있다는 뜻으로 응공(應供)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