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청당 암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6월 20일 (화) 14:26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쌍청당 암각
Inscriptions of Song Yu
쌍청당 암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쌍청당 암각
영문명칭 Inscriptions of Song Yu
한자 雙淸堂 巖刻
주소 대전광역시 동구
지정번호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지정일 2021년 7월 19일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석각류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쌍청당 암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쌍청당 암각은 크게 다듬지 않은 자연 암석에 글자를 새겨 넣은 일종의 지명각석(地名刻石)이다. 앞면에는 ‘雙淸堂睡翁二墓在乾方二百五十步 百代(쌍청당수옹이묘재건방이백오십보 백대)’, 옆면에는 ‘淸風(청풍)’ 뒷면에는 ‘三韓正氣(삼한정기)’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쌍청당(송유)과 수옹(송갑조)의 묘는 서북쪽 250보 되는 곳에 있다. 백대의 청풍이오, 삼한의 정기로다.’라는 뜻이다. 이 글귀는 숙종 13년(1687)에 김수증이 팔분체(八分體)로 썼다는 기록이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전하는데, 김상헌의 손자인 김수증은 제월당 송규렴의 손위 처남으로 우암 송시열과도 깊은 교분을 나누었던 사이였으며, 팔분체에 능했던 인물이다.

이처럼 쌍청당 암각은 1680년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정계에 복귀한 우암이 회덕에 은진송씨의 뿌리를 내린 쌍청당 송유와 자신의 아버지 수옹 송갑조를 위해 김수증에게 부탁하여 글자를 새겼다는 이야기가 담긴 지명각석으로, 예술적‧지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다.

영문

Inscriptions of Song Yu

This pair of inscriptions on a large boulder in Panam-dong, Daejeon, is said to have been carved in 1687 by the scholar Kim Su-jeung (1624-1701) on behalf of the renowned civil official and scholar Song Si-yeol (1607-1689) to honor his ancestor Song Yu (1388-1446) and his father Song Gap-jo (1574-1628). As a brother-in-law of Song Gyu-ryeom (1630-1709), one of Song Si-yeol’s disciples, Kim Su-jeung shared a close friendship with Song Si-yeol.

The main inscription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boulder and reads: “The tombs of Song Yu and Song Gap-jo are located 250 paces to the northwest.” The secondary inscription spans the front, side, and back of the boulder and reads: “The refreshing breeze of one hundred generations; The vital force of Samhan,” referring to Kore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2nd century BCE-3rd century CE).

Song Yu was the grandson of Song Myeong-ui, the first person of the Eunjin Song clan to settle in Hoedeok (present-day Daejeon). From the time of Song Yu, the Eunjin Song clan became a prestigious family representative of the local area. Song Si-yeol was Song Yu’s 8th-generation descendant.

영문 해설 내용

대전 판암동 커다란 암석에 새겨진 이 암각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송시열(1607-1689)이 선조 송유(1388-1446)와 아버지 송갑조(1574-1628)를 기리기 위해 학자 김수증(1624-1701)에게 부탁하여 1687년에 새겼다고 전해진다. 김수증은 송시열의 제자 송규렴(1630-1709)의 처남으로 송시열과도 깊은 교분을 나누었던 사이이다.

암석 앞면에 새겨진 글씨는 “송유와 송갑조의 묘는 이곳에서 서북쪽 250보 되는 곳에 있다”는 뜻이다. 앞면, 옆면, 뒷면에 새겨진 글씨는 함께 “백대의 청풍이오 삼한의 정기로다”라는 뜻이다.

송유는 은진송씨 중 회덕(지금의 대전 지역)에 처음으로 정착한 송명의의 손자이다. 송유 때부터 은진송씨는 회덕을 대표하는 명문가로 성장하였다. 송시열은 송유의 8대손이다.

참고자료

  • “가보자! 쌍청당 애각”, 가보자! 보문산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2011.09.30. https://blog.naver.com/lgs06161/100139373324
  • 송유 - 송계사 - 송순년 - 송여해 - 송세량 - 송구수 - 송응기 - 송갑조 - 송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