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서산 부장리 고분군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4월 18일 (화) 12:2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서산부장리고분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404750000 서산 부장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산 부장리 고분군
Ancient Tombs in Bujang-ri, Seosan
서산 부장리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산 부장리 고분군
영문명칭 Ancient Tombs in Bujang-ri, Seosan
한자 瑞山 富長里 古墳群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음암로 499 (부장리)
지정번호 사적 제475호
지정일 2006년 11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시대 백제
수량/면적 14,108㎡
웹사이트 서산 부장리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산 부장리 고분군은 가야산에서 내려 온 낮은 언덕에 자리한 백제 시대 분구묘 유적이다. 부장리에서 2004~2006년 3차례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시대~조선시대의 집터와 무덤 등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남쪽 경사면의 분구묘 13기가 분포하는 지역을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분구묘는 한반도 중서부지역과 호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조성된 마한 세력의 무덤으로, 흙으로 분구를 쌓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는 매장시설을 만들고 분구 주위에는 도랑 시설인 주구를 돌렸다. 부장리 분구묘는 주구의 길이가 20~40m이고, 분구는 현재 가장 높은 것이 2m 정도 낮은 편이다. 하나의 분구묘 안에 매장시설은 적게는 1기에서 많게는 10기로 독무덤(옹관묘) 몇 기를 제외하면 모두 덧널(목곽) 또는 널(목관)이 사용된 움무덤(토광묘)이다.

부장리 분구묘에서는 백제 양식의 토기, 철기, 장신구 등의 유물이 나와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중후반에 분구묘가 축조된 것으로 본다. 특히 금동관모, 금동신발, 금동귀고리, 철제자루솥 등은 5세기 한성백제 시기에 중앙정부가 내려준 최상급 위세품*으로 서산지역 최상층의 무덤임을 알려준다.

부장리 분구묘는 분구묘 원형을 잘 지니고 있어 분구묘 축조과정과 고분군 형성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며, 한성백제 시기 고분군 가운데 위세품 수량이 상당히 많은 편으로, 당시 마한계통인 서산지역 지배세력의 위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