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선조어서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29일 (화) 15:0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선조어서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0300000 김해 선조어서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선조 어서각
김해 선조어서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선조 어서각
한자 金海 宜祖 御書閣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0호
지정일 1983년 7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김해 선조어서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선조어서각(宜祖御書閣)은 1593년(선조26) 9월에 선조가 의주 행재소(行在所)에서 국문으로 반포했던 교서를 보관하기 위해 1835년에 교서를 받들었던 권탁의 후손이 건립한 건물이다. 원래 한 칸 평면의 맞배지붕 목조 기와집이었으나 허물어져 1989년 4월 현재의 장소로 옮겨서 복원하였다. 권탁을 모시는 현충사 뒤편에 담장을 따로 둘러 보호하고 있다.

선조의 교서에는 왜군에게 포로가 된 백성들에게 적중에서 탈출해 돌아올 것을 권유한 내용이 담겨 있다. 1593년 9월에 교서를 받든 권탁(權卓)은 적진으로 잠입하여 일본으로 끌려가기 직전의 백성 100여명을 구출하는 공을 세웠다.

어서각에서 보관했던 선조국문유서는 최초의 한글 공문서로서 16세기말의 언어를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국어사적 가치가 있다. 현재 김해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