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26일 (토) 16:1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해광사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563...)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자 金海 海光寺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63호
지정일 2014년 3월 20일
분류 기록유산
수량/면적 3권 1책
웹사이트 김해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부처와 열두 보살이 주고받는 문답을 통해 대승불교 사상과 수행 절차를 설명한 경전이다.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조선 초기 승려인 함허당(涵虛堂) 득통기화(得通己和)가 풀이한 것으로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1464년(세조 10)에 간행하였다. 국내에는 1570년(선조 3)에 간경도감본을 복각(覆刻)*하여 무등산(無等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중간(重刊)**한 것, 1882년(고종 19) 간행본‚ 1883년(고종 20) 천마산(天磨山) 봉인사(奉印寺)판이 남아 있다.

해광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중시되던 임진왜란기 간행본보다 130여년 빠른 것으로 간기의 기록이 명확하며 인쇄와 보관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적 가치가 크다.


  • 복각(覆刻): 원본을 그대로 본떠서 다시 목판으로 새김.
  • 중간(重刊): 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