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15일 (화) 15:2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천안광덕사삼세불도.jpg |사진출처=[http://cheonan.grandculture.net/cheonan/toc/GC04500698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디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디지털천안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한자 天安 廣德寺 三世佛圖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사길 30 (광덕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0호
지정일 2007년 10월 3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점
웹사이트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삼세불도는 석가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함께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조선 초기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수의 조선후기 작품이 사찰에 남아 있다. 대상이 되는 삼세불은 약사여래(과거_동방), 석가여래(현재), 아미타여래(미래_서방)로 시간적 ․ 공간적인 삼세의 부처님을 의미한다.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는 석가여래(영산회상도), 아미타여래(아미타회상도), 약사여래(약사회상도)의 3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 바탕에 채색하여 그린 것이다. 1991년에 약사회상도가 도난되어 현재는 영산회상도와 아미타회상도 2점만 남아 있으며, 대웅전 내부 불단 위에 봉안되어 있다.

영산회상도는 본존인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8대 보살과 사천왕, 10대 제자 등 다수의 권속들이 좌우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반면에 아미타회상도는 영산회상도에 비해 권속의 수도 적고 단순한 구도를 보여준다.

천안 광덕사 삼세불도는 화기(畫記)에 적힌 “건륭6년신유6월일(乾隆六年辛酉四月日)” 이라는 내용을 통해 1741년에 제작하여 광덕사에 봉안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당시 불화 조성에 참여한 화승으로는 붕우(鵬友) 사혜(思惠), 인찰(印察)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한 점을 도난당하여 2점만 남아 있지만 안정된 구도와 원만한 인물표현, 유려한 필선, 뛰어난 채색 등을 통해 18세기 전반 불화의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어 가치가 높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