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산군 이전 묘역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31일 (월) 08:04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산군 이전 묘역
영산군이전묘역.jpg
대표명칭 영산군 이전 묘역
한자 寧山君 李恮 墓域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산 39 산39, 산103-1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6호
지정일 2007년 2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분묘 1基, 석물 10基, 토지 344㎡
웹사이트 영산군 이전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 묘역은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13남인 영산군(寧山君 : 1490~1538) 이전(李恮)과 그 아들인 장흥군(長興君) 이상(李祥), 손자 덕원도정(德源都正) 이경의(李鏡義), 증손자 강진부정(康津副正) 이종(李琮) 등 4대에 걸친 묘역으로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묘제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영산군(寧山君)의 묘역과 문인석, 장명등 등 묘역 내 배치된 석물들은 당대의 전형적인 형식으로서 학술 가치가 매우 높다.

생모는 숙용심씨(淑容沈氏)이며, 연산군 시절 승마경주로 진성대군(중종)의 목숨을 구한 일화는 유명하다.

1506년(중종 1) 중신들과 반정을 도모하여 연산군(燕山君)을 폐위시키고 중종을 추대하여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 1등에 책록된다.

그러나 1523년(중종 18)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사건에 연루되어 황해도 배천(白川)으로 유배되었다가 1527년(중종 22) 삼공(三公)의 건의로 사면된다. 그 후 북한산록 진관한촌(津寬寒村 : 현재 재말)으로 물러나 자연을 벗삼다가 1538년(중중 33) 향년 49세로 정침에서 타계하였다.

묘는 쌍분(雙墳) 삼위장(三位葬)으로 향좌측의 묘는 영산군과 첫 부인인 금릉군부인(金陵郡夫人) 청송심씨와의 합장묘이고, 향우측의 묘는 둘째부인인 교성군부인(交城郡夫人) 경주정씨의 묘이며, 향우측 기슭엔 셋째부인인 군부인(郡夫人) 함흥황씨의 묘가 있다.

금릉군부인 심씨의 이수형(螭首形) 대리석 묘표의 수려한 조각과 교성군부인 정씨의 하엽형(荷葉形) 화강암 묘표도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준다.

영문

Tomb of Yi Jeon

This place is the tomb of Yi Jeon (1490-1538, Prince Yeongsan), the 13th son of the nin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King Seongjong (r. 1469-1494).

In his youth, Prince Yeongsan was intelligent and sensible, so King Seongjong loved him dearly. When the crown prince and oldest son of King Seongjong, Prince Yeonsan (r. 1476-1506) returned after finishing hunting, he suggested to his younger brother Prince Jinsan (later King Jungjong, r. 1506-1544) to go (race?) to Gyeongju by horse. Prince Yeonsan said that in Gyeongju, the loser would be pu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military law. Following this, Prince Yeongsan said "My horse is very fast, but it cannot be controlled without me", took the place of Prince Jinsan, and arrived at the palace gate earlier than Prince Yeonsan, so he could save the life of Prince Jinsan.

However, after King Jungjong ascended the throne, Prince Yeongsan was falsely accused of being involved in several rebellions and in 1523, he was exiled to Hwanghae-do Province. After being pardoned in 1527, he led a secluded life in the Jingwan-dong area of today's Eunpyeong-gu where he lived closer to nature and passed away.

Among the two burial mounds, the one to the left is the combined mound of Prince Yeongsan and his first wife, Lady Sim, and the one to the right is the tomb of his second wife, Lady Jeong. On their right skirt is the tomb of his third wife, Lady Hwang. In front of his tomb are around 10 stone sculptures which have great value as they show the typical style of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the marble tombstone of Lady Sim and the granite tombstone of Lady Jeong are beautiful carvings which convey an excellent aesthetic artistry.

In the vicinity of the tomb of Prince Yeongsan are the tombs of his son Yi Sang, grandson Yi Gyeong-ui, and great-grandson Yi Jong. It is a cemetery for four generations which shows well the changes in burial practices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during the Joseon period.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 제9대 왕 성종(재위 1469-1494)의 13남인 영산군 이전(1490-1538)의 묘이다.

영산군은 어린 시절부터 영특하고 현명하여 성종의 총애를 받았다. 성종의 맏아들인 연산군(재위 1476-1506)이 세자 시절 사냥을 끝내고 돌아오면서, 동생 진산대군(후의 중종, 재위 1506-1544)에게 승마 경주를 제안하였다. 연산군은 경주에서 진 사람은 군법에 따라 처벌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영산군은 “제 말이 매우 빠르지만, 제가 아니면 통제할 수 없습니다”하고는, 진산대군을 대신하여 연산군보다 일찍 궐문에 도착하였고, 진산대군은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종이 즉위한 이후 영산군은 여러 역모 사건에 연루되는 모함을 받았고, 1523년에는 황해도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1527년 사면된 뒤 지금의 은평구 진관동 지역에 은거하며 자연을 벗삼아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2개의 봉분 중 왼쪽은 영산군과 첫 부인인 청송심씨의 합장묘이고, 오른쪽은 둘째 부인인 경주정씨의 묘이다. 오른쪽 기슭에는 셋째 부인인 함흥황씨의 묘가 있다. 묘 앞에는 10여 개의 석물이 있는데, 16세기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주어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청송심씨 대리석 묘표와 경주정씨 화강암 묘표는 수려한 조각으로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준다.

영산군의 묘 인근에는 아들인 이상, 손자 이경의, 증손자 이종의 묘소가 있다. 4대에 걸쳐 조성된 묘역으로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조선시대 묘제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