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영천 만취당 고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26일 (금) 19:5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영천만취당고택.jpg |사진출처=한국의 전통 가옥 - 영천 만취당 기록화보고서』, 문화재청, 2007, 131쪽. |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천 만취당 고택
Manchwidang House, Yeongcheon
한국의 전통 가옥 - 영천 만취당 기록화보고서』, 문화재청, 2007, 131쪽.
대표명칭 영천 만취당 고택
영문명칭 Manchwidang House, Yeongcheon
한자 永川 晩翠堂 古宅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종동길 25 (오계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75호
지정일 1984년 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6필지/ 지정구역 2,877㎡, 보호구역 922㎡
웹사이트 영천 만취당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영천 만취당 고택은 조선 정조 5년(1781)에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조학신(曺學臣)의 집으로, ‘만취당’은 이 집의 사랑채 이름이다.

안채는 ㄷ자 모양이고 건물 가운데는 네 칸이다. 건물의 오른쪽부터 두 칸은 안방이고 큰 마루와 작은방이 한 칸씩이다. 안방은 부엌과 고방**으로 이어지고, 작은방은 아랫방과 마루방으로 이어진다.

사랑채는 안채와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사랑 마당에서 안마당으로 통하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큰사랑채와 중사랑채로 나뉜다. 큰사랑채는 왼쪽부터 두 칸이 사랑방이고 큰 마루와 제방***이 한 칸씩인데, 여성들이 사용하는 공간인 제방을 사랑채에 마련한 예는 매우 드물다. 중사랑채의 오른쪽에는 중사랑방이 있고 왼쪽에는 마루가 있다.

사랑채의 오른쪽에는 사당이 있으며, 그 뒤쪽으로 별묘****와 보본재(報本齋)가 있다. 대문채 옆에는 광명헌(光明軒)이라고 하는 새사랑채가 있는데, 광명헌, 별묘, 보본재 등은 모두 후대에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집은 조선 후기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를 골고루 갖추고 있어서 당시의 건축 양식과 주생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각 도의 육군을 지휘책임을 맡은 종이품의 무관 벼슬
  • 고방(庫房): 살림살이를 넣어 두는 방.
  • 제방(祭房): 제사를 지낼 때 여성 제관들이 사용하는 방.
  • 별묘(別廟): 한집안의 사당에서 받들 수 없는 신주를 모시기 위하여 따로 둔 사당.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갤러리

참고자료

주석

  1. 『한국의 전통 가옥 - 영천 만취당 기록화보고서』, 문화재청, 2007, 1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