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삼우당 터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7월 30일 (토) 16:4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삼우당 터 |영문명칭= |한자=三友堂 터 |주소= |소장처= |지정번호=진안군 향토문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삼우당 터
대표명칭 삼우당 터
한자 三友堂 터
지정번호 진안군 향토문화유산(기념물)



해설문

국문

삼우당은 구한말의 애국지사 최제학이 스승 최익현을 모시고 태인의병(병오창의) 거사를 준비하던 곳이다. 삼우당이란 이름은 최제학의 부친 삼형제(성호, 익호, 명호)가 아주 우애 좋게 살았다고 하여 붙여졌다.

삼우당 누각이 있던 뒤쪽 바위에 ‘삼우당(三友堂)’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삼우당 터에는 1919년에 세웠다는 삼우동비(三友洞碑)가 있다. 비 앞면에는 ‘삼우동(三友洞)’이라 새겨 있고 뒷면에는 ‘우당팔경(友堂八景)’이 적혀 있다. 그리고 삼우동비 뒤쪽에는 ‘애국지사 습재 최제학 선생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현재 삼우당은 남아 있지 않지만 삼우당 터는 구한말 진안의 항일투쟁사와 독립운동사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담긴 역사 현장이자 문화유산이다.


  • 최익현: 구한말의 의병장, 위정척사운동에 앞장선 유학자
  • 태인의병(병오창의): 1906년 정읍 태인에서 일어난 항일 의병 운동
  • 우당팔경(友堂八景)
    1. 봉포유운(鳳浦流雲): 봉황산 아래 나루에 하얀 구름처럼 떠오르는 물안개
    2. 난산낙조(卵山落照): 알미산에 비치는 찬란한 석양 노을
    3. 주소귀범(舟沼歸帆): 주소에서 노닐다가 선창으로 돌아오는 배
    4. 유천어화(柳川魚火): 지동 앞 유천에서 횃불을 밝히고 고기 잡는 광경
    5. 목동초가(木洞草歌): 목동의 초동들이 즐겨 부르던 흥겨운 노래 가락
    6. 지곡모연(芝谷暮煙): 지곡마을 저녁 밥 지을 때 피어오르는 연기
    7. 선대명월(仙坮明月): 달밝골에 아름답게 떠오르는 보름달
    8. 인봉적설(麟峰積說): 성수산에 하얗게 쌓인 눈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