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대지재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7월 5일 (화) 15:13 판 (해설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지재사
대지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대지재사
한자 大枝齋舍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행갈길 107 (직산리)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지정일 1983년 9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대지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지재사는 조선 전기의 청백리* 허백당 김양진(虛白堂 金楊震)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16세기경에 세운 재사**이다.

건물은 낮은 야산을 등지고 있는 산자락에 위치하며,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전체적인 공간은 튼 ㅁ자 모양으로 주사***, 재사, 사당 등 세 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一자 모양의 재사 건물 앞쪽에 주사가 ㄷ자로 배치되어 있고 뒤쪽에는 언덕 위에 사당이 있다.

재사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 5칸 중 가운데 3칸에는 우물마루**** 구조의 대청을 두었고, 양쪽의 2칸에는 온돌방을 꾸몄다. 대청 위의 대공*****에 새긴 연꽃무늬나 오른쪽 온돌방의 중간 설주가 남아 있는 영쌍창****** 등은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 청백리(淸白吏): 청렴한 관리.
  • 재사(齋舍): 조상을 모시고 제사 지내기 위해 묘소나 사당 주변에 짓는 건물.
  • 주사(廚舍):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
  • 우물마루: 우물 정(井) 자 모양으로 짠 한국 고유의 마루.
  • 대공(臺工): 대들보 위에 세운 마룻보를 받치는 짧은 기둥.
  • 영쌍창(靈雙窓): 양쪽에 외여닫이문을 쌍창처럼 설치한 것.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