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나주 금성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14일 (화) 15:4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나주금성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620370000 나주 금성관],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나주 금성관
나주 금성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나주 금성관
한자 羅州 錦城館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관길 8 (과원동, 나주금성관)
지정번호 보물 제2037호
지정일 2019년 10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조선시대
제작시기 조선시대 성종 18년(1487)~20년(1489)
수량/면적 1동(정청 603.19㎡, 월대(계단포함) 79.57㎡)
웹사이트 나주 금성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나주는 백제 때의 이름이 발라군이다. 물론 백체 이전에는 불미지국(이병도설)이 있었다고 추정한다. 통일 신라 때 금성군(금산), 903년에 지금의 이름인 나주가 되어 982년(성종2년) 나주목이 되었다가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나주관찰부(16개군 관할)가 설치되고 1896년 전국을 13도로 나누어 전라남도청이 광주에 설치 될 때까지 천여 년 간 남도의 중심도시였다.

이곳은 나주목관아 중심공간이었던 나주목객사 공간이다. 관아는 넓게 해석하면 읍성과 내부의 각종건물을 이르는 말이다. 객사는 관찰사가 관할구역을 순행할 때 업무를 보던 곳이요 중앙의 사신(事臣)이 지방에 오면 묵던 곳이었다. 특히 객사의 정청에는 전패를 모셔두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행하던 공간이었다. 다시 말해 사신을 접대하고(侍賓客), 왕정의 위덕을 펴서(宣威德), 관부의 위엄을 세우는(嚴官府) 곳이었다.

금성관 주변은 고려 때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금성관의 동익헌(벽오헌)은 전라도관찰사 이행(1403.1.11.~1404.5 재임)이 벽오헌이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것으로 보아 고려 말 또는 조선초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김춘경 목사와 오한 판관이 1480년 중수하였으며, 금성관은 이유인목사(1487.4.12.~1489 재임)가 망화루와 함께 건립하였다. 임란 때 피해를 입어 김개목사(1616.3.24.~1617.4 재임)가 1617년 4월 21일 중수하였고, 1775년 8월 30일 이명중목사(1775.3.14.~1776.7 재임)가 개수하였다. 이후 1963년 보수를 거쳐 1976년 완전 해체 복원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나주읍성과 나주목관아는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일제는 나주목 당시의 동헌이었던 제금헌(製錦軒)을 나주군청사로 사용하였다. 매일신보 1919년 2월 4일자 나주군청과 창고이축 수리에 대해 도청에 보고하였다는 기사와 1920년에 발간된 『속수나주지』의 기록으로 보아 1919년에 금성관으로 군청사를 옮긴 것으로 확인된다. 군청으로 쓰이던 제금헌은 잠업전습소로 향사당은 금융조합으로 사용하다가 1926년 나신면사무소로 1943년 나주수리조함(해방 후 영산강농지개량조합-농업기반공사나주지사)으로 사용되다가 1973년에 목조팔작집은 없어졌다. 연청(椽廳)은 경찰서로 도청(都廳)은 지방법원출장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군청사를 금성관으로 옮기면서 남문외장을 1920년 폐쇄하고 읍내장만 개장하였는데 이 때 시장터를 지금의 금계매일 시장 쪽으로 이전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금성관의 동.서익헌과 망화루 등은 일제 때 없어지고 금성관만 남았으나 이를 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형이 상실되었다. 금성관 앞쪽으로 나주군청사가 있었으나 2005년 철거하고 외삼문인 망화루를 복원하였으며 발굴조사 결과 월대와 박석 내삼문, 각종 부속건물지가 확인되었다. 나주시에서는 금성관 동.서익헌 복원 등 금성관 주변 복원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영문

A guesthouse, called gaeksa in Korean, was a part of a local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 guesthouse consists of a shrine in the center, where a wooden tablet symbolizing the king was held, and a room to each side, which was used as temporary lodging for important guests or officials visiting the region on duty. The wooden tablet, enshrined in each local guesthouse, exhibited the king’s sovereignty across the country. To acknowledge this sovereignty, the local magistrate and other officials regularly performed a ceremony here in which they prostrated themselves toward the royal capital.


영문 해설 내용

객사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고을 관아에 설치했다. 객사는 가운데에 왕의 전패를 모신 정청이 있고, 좌우 양쪽에는 공무로 출장 온 관원이나 고을을 찾은 중요한 손님들이 숙소로 사용되던 익헌이 있다. 객사에 모셔진 전패는 왕의 통치권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치권을 바탕으로 고을 수령과 관리들은 궁궐을 향해 절하는 망궐례를 행했다.

금성관은 나주목 관아의 객사로, ‘금성’은 나주 지역의 옛 이름이다.

금성관의 동.서익헌과 문루인 망화루 등은 일제강점기 때 없어지고 정청만 남았다. 금성관은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전라도관찰사 이행(1403.1~1404.5 재임)이 금성관의 동익헌을 벽오헌이라고 이름 지었다는 것으로 보아, 고려 말 또는 조선 초기에 처음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정청은 목사 이유인(1487.4~1489 재임)이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목사 김개 (1616.3~1617.4 재임)가 1617년에 중수하였고, 1775년 목사 이명중(1775.3~1776.7 재임)이 고쳐 지었다. 이후 1963년 보수를 거쳐 1976년 완전 해체 복원하였다.

나주 지역은 백제 때 발라군이라 불리다가 통일신라시대 때 금성군이 되었다. 903년 이름이 나주로 바뀌고 982년 나주목이 되었다. 나주 지역은 1896년 전라남도청이 광주에 설치될 때까지 남도의 중심도시였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나주읍성과 나주목 관아는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일제는 나주목 목사의 집무실이던 제금헌을 나주군청사로 사용하였고, 1919년에는 금성관으로 군청사를 옮겼다. 이후 제금헌은 잠업전습소로 쓰였고, 관아 내의 여러 건물들은 경찰서와 지방법원출장소 등으로 사용되었다. 일제는 군청사를 금성관으로 옮기면서 남문외장을 1920년 폐쇄하고 읍내장만 개장하였는데 이 때 시장터를 지금의 금계매일 시장 쪽으로 이전한 것으로 추측된다.

일제강점기 당시 금성관을 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형이 상실되었다. 금성관 앞쪽으로 나주군청사가 있었으나 2005년 철거하였고 외삼문인 망화루를 복원하였다. 발굴조사 결과 월대와 박석 내삼문, 각종 부속건물지가 확인되었다. 나주시에서는 금성관 동.서익헌 복원 등 금성관 주변 복원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