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화순 대곡리 청동기 출토유적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3월 25일 (금) 03:31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순 대곡리 청동기 출토유적
대표명칭 화순 대곡리 청동기 출토유적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312번지
지정번호 향토문화유산 제42호
지정일 2008년 12월 30일
시대 청동기시대
수량/면적 일원(3,049㎡)



해설문

국문

화순 대곡리 청동기 출토유적은 1971년 8월 당시 집주인 구재천 씨가 창고의 배수로를 내면서 돌무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치우는 과정에서 청동거울 2점, 팔주령(방울) 2점, 쌍두령 2점, 세형동검 3점, 청동도끼 1점, 청동 조각칼 1점 등 청동유물 11점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1972년 3월 2일에 출토된 유물 11점(일괄)이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인정받아 국보 제143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청동유물은 우리나라 청동기 문화의 중심지가 평양과 경주지구 뿐만 아니라 금강유역, 화순 대곡리, 함평 초포리 등 영산강 유역에 걸핀 호남에도 해당된다는 것을 뒷받침 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대곡리 유적은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 발전기인 기원전 4~3세기에 만들어진 적석목관묘로, 청동기 시대 무덤의 변천 과정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도하다.

이들 청동유물은 실제 사용하기 보다는 몸에 지님으로써 권위의 상징 또는 주술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어 유물이 출토된 무덤의 주인공이 원시 샤머니즘에 입각한 제사장이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청동유물이 발견된 지 37년이 지난 2008년 국립광주박물관에 의해 청동유물이 출토된 지점에 대한 주변 추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대곡리 유적의 전모를 밝히게 되었다.

영문

Bronze Age Archaeological Site Excavated from Daegok-ri, Hwasun

This archaeological site is where 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3-4 century BCE and a total of 13 artifacts of the Bronze Age (1500-300 BC) were found.

This archaeological site was first discovered in August 1971 as a circular stone mound was found when Gu Jae-cheon (person? clan?) who lived here at that time, was making a ditch next to the storehouse of the house. In December, excavations began and in 1972, 11 bronze artifacts such as two bronze mirrors, two eight-arm rattles (bells), two double-headed rattles, three slender bronze swords, one bronze axe, and one bronze carving knife were excavated. These relics we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Korean relics of the Bronze Age and they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later that year. In 2008, the archaeological site and this area were additionally excavated and two slender bronze swords were found at the bottom of the location were the coffin used to be.

The relics excavated here symbolize authority or imply shamanistic character, rather than having actually been used. Accordingly, the person to whom the grave with the excavated artifacts belonged to is likely to have been a chief priest well versed in shamanistic beliefs.

The archaeological site in Daegok-ri presents a valuable source for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graves of the Bronze Age. In addition, it also supports the fact that regional centers of Korean culture of the Bronze Age were not only Pyeongyang and Gyeongju, but also the Jeolla-do Province region spanning the Geumgang River basin and Yeongsangang River basin.

영문 해설 내용

이 유적은 기원전 3-4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적석목관묘와 총 13점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곳이다.

이 유적은 1971년 8월 당시 이곳에 살던 구재천씨가 집 창고 옆에 배수로를 만들다가 돌무지를 발견하면서 알려졌다. 12월에 발굴조사에 착수하였으며, 1972년 청동거울 2점, 팔주령(방울) 2점, 쌍두령 2점, 세형동검 3점, 청동도끼 1점, 청동 조각칼 1점 등 11점의 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한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인정받아 같은 해 국보로 지정되었다. 2008년 유적과 주변 지역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가 실시되었고, 목관이 있던 자리의 아래쪽에서 세형동검 2점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실제 사용하기 보다는 권위를 상징하거나 또는 주술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유물이 출토된 무덤의 주인공이 원시 샤머니즘에 입각한 제사장이였을 가능성이 있다.

대곡리 유적은 한국 청동기시대 무덤의 변천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한국 청동기 문화의 중심지가 평양과 경주 뿐만 아니라. 금강 유역과 영산강 유역에 걸친 전라도 지역에도 해당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