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수지(배산성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월 25일 (화) 11:52 판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집수지 |한자=集水址 |영문명칭= |종합안내판=배산성지 |위도= |경도= }} =='''해설문'''== ===국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집수지 集水址
Goto.png 종합안내판: 배산성지



해설문

국문

2017년 배산성지에서 발굴 조사된 이 집수지는 2기 모두 둥근 형태로, 3단의 계단식 호안석축(護岸石築)*을 두르고 있다. 기장산성, 거제 둔덕기성, 남해 대국산성, 남해 임진성 등 남해안 일원에서 7세기에 신라가 축조한 산성에서 확인되는 집수지 구조와 거의 비슷하다.

최상부 제3단 호안석축을 기준으로 1호 집수지는 직경 9.5m, 깊이 3.2m이며, 2호 집수지는 직경 13m, 깊이 4.6m이다. 2호 집수지는 영남 지역에서 확인된 신라산성 집수지 중 최대 규모이며, 국내에서는 충북 청원 양성산성 원형 집수지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1호 집수지에서는 전국 최초로 대나무로 엮은 발(돗자리와 유사)이 출토되었고, 2호 집수시설 내부에서는 부산 최초로 목간**이 출토되었다. 특히 목간에 쓰인 「을해년(乙亥年)」이라는 간지*** 연도는 배산성이 운영된 시기를 알려주는 결정적인 증거로서, 배산성을 중심으로 한 부산 지역의 고대 역사와 문화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 호안석축(護岸石築): 집수지 붕괴 방지를 위해 쌓은 석축 구조물
  • 목간(木簡): 문자를 적기 위해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무 조각
  • 간지(干支):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조합해 육십갑자로 나타낸 시간 단위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배산성지에서는 2017년 발굴 조사를 통해 2기의 집수지가 발견되었다. 모두 둥근 형태이고 붕괴를 막기 위해 3단의 계단식 석축을 둘렀다. 부산 기장산성, 거제 둔덕기성, 남해 대국산성, 남해 임진성 등 7세기에 신라가 남해안 일원에 축조한 산성에서 확인되는 집수지들과 구조가 거의 비슷하다.

석축 최상단을 기준으로 1호 집수지는 직경 9.5m, 깊이 3.2m이며, 2호 집수지는 직경 13m, 깊이 4.6m이다. 2호 집수지는 영남 지역에서 확인된 신라산성 집수지 중 최대 규모이며, 국내에서는 충청북도 청원 양성산성의 원형 집수지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1호 집수지에서는 전국 최초로 대나무로 엮은 발(돗자리와 유사)이 출토되었고, 2호 집수지 내부에서는 부산 최초로 목간이 출토되었다. 특히 목간에 쓰인 「을해년」이라는 간지 연도는 배산성이 운영된 시기를 알려주는 결정적인 증거로서, 배산성을 중심으로 한 부산 지역의 고대 역사와 문화를 밝히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