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용인 할미산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2월 11일 (토) 17:2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용인 할미산성 |영문명칭=Halmisanseong Fortress, Yongin |한자=龍仁 할미山城 |주소=경기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용인 할미산성
Halmisanseong Fortress, Yongin
대표명칭 용인 할미산성
영문명칭 Halmisanseong Fortress, Yongin
한자 龍仁 할미山城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산41
지정(등록) 종목 경기도 기념물 제215호
지정(등록)일 2007년 9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73,504㎡
웹사이트 용인 할미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성은 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투에 유리한 산을 이용하여 쌓은 성을 말한다. 용인 할미산성은 경안천, 탄천, 신갈천 등 하천의 흐름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으로 석성산을 사이에 두고 고갯길(작고개, 백현)이 형성되어 있어 동서 방향의 교통로까지 통제할 수 있는 교통의 요충지에 해당한다. 성을 쌓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이 한강 유역을 놓고 다툰 삼국시대에 신라인에 의해 쌓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5세기 중후반~7세기 중반 탄천을 중심으로 한 마북동, 보정동 일원의 생활유적에서 백제, 고구려, 신라 유물이 모두 출토되고 있어 신라가 본격적으로 한강유역으로 진출하기 이전부터 용인지역에 백제 마을이 존재했고 거기에 고구려 영향, 이후 신라화되는 연속적인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이 일대 신라인들이 할미산성의 축성과 운영에 참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할미산성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7차례의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집수시설, 제의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팔각형 건물지, 적이 침입해 오는 것을 살피기 위한 망루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굽다리토기, 화살촉, 갑옷조각 등 천 여 점이 출토되었는데, 주로 6세기 중반~7세기 중반에 해당하는 신라 유물이 출토되어 이 기간 동안 신라에 의해 축성․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용인 할미산성은 산성 내 다양한 시설이 남아 있고 신라 산성의 축성법, 건축기법 등을 잘 보여준다. 또한 사용시기(6세기 중반~7세기 중반)와 사용주체(신라)가 명확하여 한강유역 신라 산성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영문

Halmisanseong Fortress, Yongin


영문 해설 내용

할미산성은 할미산(해발 349m) 정상과 그 남쪽의 능선에 축조되었다. 경안천, 탄천, 신갈천 등 인근의 하천과 주변 평야지대가 모두 한 눈에 들어오는 곳이며, 서울과 남부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는 요충지에 있다.

성을 쌓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삼국이 한강 유역을 놓고 다투던 때 신라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마북동과 보정동 일원에서는 5세기 중후반~7세기 중반 탄천을 중심으로 조성된 유적지가 발견되었는데 이곳에서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유물이 모두 출토되었다. 따라서 지금의 용인 지역에는 원래 백제의 마을이 존재했고, 그 이후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으며, 6세기 중반 신라가 본격적으로 한강 유역에 진출하면서 신라의 영역에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할미산성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7차례의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성 내부에서는 집수시설, 제의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팔각형 건물지, 적이 침입해 오는 것을 살피기 위한 망루시설 등의 유구가 발견되었다. 유물은 굽다리토기, 화살촉, 갑옷 조각 등 천 여 점이 출토되었으며, 주로 6세기 중반~7세기 중반에 해당하는 신라 유물이 출토되어 이 기간 동안 신라에 의해 축성 운영된 것을 알 수 있다.

할미산성은 산성 내에 다양한 유구가 남아 있고 신라시대 산성의 건축기법 등을 잘 보여준다. 또한 사용시기와 사용주체가 명확하여 한 강유역 신라 산성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