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망월동 구산유적 집터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0월 27일 (수) 14:46 판 (새 문서: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하남 망월동 구산유적 집터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하남 미사리 유적 |위도= |경도= }}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하남 망월동 구산유적 집터
Goto.png 종합안내판: 하남 미사리 유적



해설문

국문

  • 출토지점 :하남시 망월동 326-3번지 일원(현재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 320m)
  • 시대 : 초기백제
  • 조사기관 : (재)고려문화재연구원

2009년 개통한 미사대교 건설 과정에서 실시한 ‘하남 망월동 구산 유적’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초기백제시기 집터 4호와 5호를 이곳으로 이전보존*하였다. 2005년 5월 30일에서 2006년 1월 26일까지 조사하였으며, 청동기시대 집터 2기, 초기백제 집터 10기, 조선시대 집터 1기, 회곽묘** 1기 등이 발견되었다. 두 집터 모두 부뚜막과 불 땐 자리가 비교적 잘 남아 있으며, 4호 집터에는 돌을 깔아 만든 불 땐 자리가, 5호 집터에는 형태가 남아 있지않은 불 땐 자리가 집터 가운데 설치되어 있다. 4호 집터에서는 밖으로 연결된 연기 배출 시설이 확인되었다.


  • 이전보존: 문화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발굴 현장에서 다른 장소로 이전하여 보존하는 것을 의미
  • 회곽묘: 무덤 안에 관과 곽을 보호하기 위해 석회층을 만들어 관과 곽을 안치하는 무덤 양식
  1. 자료출처: 『하남 망월동 구산 유적』(2008, 고려문화재연구원)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2기의 집터는 백제시대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현재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 320m 떨어진 망월동 구산 유적에 있었다.

망월동 구산 유적은 2005년 5우러부터 2006년 1월까지 조사되었으며, 청동기시대 집터 2기, 초기백제 집터 10기, 조선시대 집터 1기, 회곽묘 1기 등이 발견되었다. 그중 백제집터 4호와 5호를 ****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

두 집터 모두 부뚜막과 불 땐 자리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4호 집터에는 돌을 깔아 만든 불 땐 자리가 있고, 밖으로 연결된 연기 배출 시설이 있었다, 5호 집터에는 형태가 남아 있지않은 불 땐 자리가 집터 가운데 설치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