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예천 용문사 자운루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13일 (금) 22:4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예천용문사자운루.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760000 예천 용문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예천 용문사 자운루
0
예천 용문사 자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예천 용문사 자운루
영문명칭 0
한자 醴泉 龍門寺 慈雲樓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길 285-30 (용문면)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6호
지정일 2013년 4월 8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각루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예천 용문사 자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용문사 자운루는 용문사 경내 마당을 사이에 두고 대장전과 마주 보고 있는 누각이다.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자엄대사가 고려 의종 20년(1166)에 처음 세웠고, 조선 명종 16년(1561) 및 광해군 13년(1621) 두 차례에 걸쳐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후 1979년에 다시 고쳐 지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자운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이층 누각 건물로, 위층과 아래층에 둥근 기둥을 각각 따로 세웠다.

전체적인 건축 양식은 조선 중·후기의 기법으로 보인다. 처음 건립 당시의 모습에서 다소 변화는 있으나, 장식성이 두드러지지 않는 익공계* 수법으로 꾸몄다.

임진왜란 때는 승병(僧兵)들의 회담 장소였으며, 백성들이 승병들을 돕기 위해 짚신을 만들었던 호국의 장소이기도 하다.


  • 익공계(翼工系): 조선시대부터 사용된 간단한 공포 구조 양식으로, 기둥 윗부분에 새 날개처럼 뾰족하게 생긴 부재(익공)를 끼워서 만드는 건물 양식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용문사 대장전과 마주하고 있는 자운루는 이층 누각 형태로 지어진 건물이다.

고려시대 때 용문사의 중건을 주도했던 자엄대사에 의해 1166년에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이후 1561년과 1621년, 1979년에 고쳐 지어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누각의 앞쪽은 중간에 나무 기둥을 세웠고, 반대쪽은 벽 없이 마당으로 이어져 있다. 마당쪽 중앙에는 ‘자운루’라는 편액을 걸었다. ‘자운’은 부처의 은혜가 구름이 하늘을 덮듯이 넓게 미침을 의미한다.

이곳은 임진왜란(1592) 때 승병들의 회담 장소로 쓰이기도 했으며, 당시 승병들을 돕기 위해 백성들이 이곳에서 짚신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사찰에 세워진 이러한 누각은 보통 문루로 사용되지만, 자운루는 문의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층이 매우 낮고 경내로 연결되는 부분도 막혀 있다.


참고자료

  • 예천 용문사 자운루,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4760000&pageNo=1_1_1_1 -> 자운루는 2층 누각집으로 고려 의종 20년(1166)에 자엄대사가 세웠으며, 조선 명종 16년(1561) 고쳐 짓고, 광해군 13년(1621)에도 고쳐 지었다. 그 뒤, 1979년에 보수하여 오늘이 이르고 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짠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안쪽 천장은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이다. 임진왜란 때는 승병들을 지원하기 위해 이곳에서 짚신을 만들어 조달한 신방의 기능을 수행한 호국의 장소이기도 하다. 건축 양식으로 보아 조선 중·후기의 기법을 지니고 있으며, 불교 행사가 있을 때 법 공양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 예천 용문사 자운루 – 경북 예천[17], 문화재?문화재!,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mallarmel/222467273835 -> 상세 사진
  • 자운(慈雲), 문화원형 용어사전,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https://www.culturecontent.com/dictionary/dictionary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