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미산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4일 (수) 19:1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성미산성 |영문명칭=Seongmisanseong Fortress |한자=城嵋山城 |주소= |소장처= |지정번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미산성
Seongmisanseong Fortress
대표명칭 성미산성
영문명칭 Seongmisanseong Fortress
한자 城嵋山城
지정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100호
지정일 1999년 4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1원
웹사이트 성미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성미산성은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 성미산에 있다. 섬진강 오원천의 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성미산의 정상부와 남서쪽 경사면을 감싸고 있는 길쭉한 타원형의 테뫼식 산성으로 전체의 둘레는 522m이다.

산성의 남쪽과 북쪽, 서쪽 성벽에는 본래의 성벽이 남아 있으며 동쪽 성벽 구간은 복원되었다. 성벽은 내벽과 외벽을 모두 쌓는 협축식 공법으로 축조되었는데 현재까지 성문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산성의 내부에는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 대지가 뚜렷하게 남아 있다.

2007년 전북문화재연구원에서 산성 내부의 남쪽에 있는 평평한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원형의 집수 시설 2기와 구들 시설 등이 확인되었고, 상(上), 중(中), 하(下) 등 백제 오부(五部)의 이름이 찍힌 인장와(印章瓦), 그리고 금동여래입상 소지불(所持佛)이 출토되었다.

성미산성은 『삼국사기』의 「백제본기」 무왕조 605년의 기록과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661년의 기록으로 미루어 각산성(角山城)으로 추정된다. 백제의 성미산성은 6∼7세기경 신라의 공격을 막아 내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방어선의 역할을 하였다.

영문

Seongmisanseong Fortress


영문 해설 내용

성미산성은 섬진강 상류인 오원천 동쪽에 우뚝 솟아 있는 성미산(해발 430.5m)의 정상부와 남서쪽 경사면을 감싸고 있는 산성이다. 삼국시대인 6-7세기경 신라의 공격을 막기 위해 백제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전략적 요충지이자 방어선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산성은 길쭉한 타원형이며 전체의 둘레는 522m이다. 산성의 동쪽 성벽은 무너졌던 것을 다시 지었고, 나머지 부분에는 원래의 성벽이 남아 있다. 성문의 위치를 아직 파악되지 않았으며, 산성 내부에는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 대지가 남아 있다.

2007년 산성 내부의 남쪽에 있는 평평한 지역에 대해 발굴 조사를 실시되었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원형의 집수 시설 2기와 구들 시설 등이 확인되었고, 백제 때의 행정구역 이름이 찍혀 있는 기와,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