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사근도 형지안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7월 28일 (수) 01:3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사근도형지안.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5320000 사근도 형지안],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근도형지안
사근도 형지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사근도형지안
한자 沙斤道形止安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새재로 944 (문경읍, 옛길박물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32호
지정일 2019년 3월 25일
분류 유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책
웹사이트 사근도 형지안,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형지안은 조선 시대 역참*에 소속된 역리**, 역노비 등 역인(驛人)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반 호적과는 별도로 작성한 인명장부이다. 사근도는 조선 경상도 함양의 사근역을 중심으로 한 역도***를 뜻하며 본역은 사근역이며 속역은 14개로 총 15개의 역이 속해 있다. 사근도 형지안은 이 15개 소속역의 4천여 명에 달하는 역인의 상황을 수록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다. 작성 시기는 조선 영조 23년(1747)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손실된 부분이 없는 완전한 상태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 또한 크다.


  • 역참(驛站) : 중앙과 지방 사이의 명령 전달, 외국 사신의 접대, 공공물자의 운송 등을 위하여 설치된 교통·통신 기관
  • 역리(驛吏) : 역참의 실무를 담당하였던 하급 관리
  • 역도(驛道) : 역참으로 통하는 길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