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산 구강당 및 주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5월 22일 (수) 16:26 판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작산구강당.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220000 작산 구강당 및 주사]",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산 구 강당 및 주사
"작산 구강당 및 주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작산 구 강당 및 주사
한자 鵲山 舊 講堂 및 廚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물한리 91
지정번호 시도민속문화재 제22호
지정일 1980년 12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일곽(2동)
웹사이트 "작산 구강당 및 주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건물들은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脩)의 덕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성종 11년(1480)에 지었다. 후학들의 학문연구를 위한 공간인 강당과 시제 및 묘제를 준비하는 주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자수는 고려말의 인물로 홍건적의 침입 때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워 송안군에 봉해졌다.

강당은 왼쪽에 축담을 2단으로 높이 쌓아 올려 그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건물로 가운데 3칸 대청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다. 주사는 정면 5칸, 측면 5칸의 건물로 전면에 대문을 두고 그 왼쪽에 마구간과 2칸의 창고를 두었다. 주사의 뒤쪽에 3칸 대청을 두었는데 이 공간은 행사가 있을 때 여러 사람의 모임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건물들은 이자수의 덕을 추모하고 후학들을 교육하고자 1480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자수는 진성이씨 가문의 안동 입향조로, 고려말 홍건적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학문연구를 위한 공간인 강당은 가운데 대청을 두고,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다. 주사는 제사를 준비하던 공간으로, 마구간, 창고, 대청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1715년 약 70미터 북쪽에 작산정사가 새로 건립되어, 원래의 강당인 이 건물은 구강당이라 불리게 되었다.



갤러리

작산구강당및주사 평면도.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