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백관수선생 고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22일 (토) 00:2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백관수선생고택.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500900000 백관수선생 고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관수선생고택
Baek Gwan-su’s House
백관수선생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백관수선생고택
영문명칭 Baek Gwan-su’s House
한자 白寬洙先生古宅
주소 전라북도 고창군 성내면 도덕길 58 (덕산리)
지정번호 전라북도 기념물 제90호
지정일 1997년 7월 18일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생활유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곽655㎡
웹사이트 백관수선생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독립운동가 근촌 백관수(芹村 白寬洙, 1889∼1961)가 살았던 집이다. 그는 일찍이 간재 전우에게 유학을 배웠으며, 청년 시절부터 인촌 김성수, 고하 송진우 등과 교유했다. 일본 유학 중 조선 독립을 위해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하고, ‘2·8독립선언서’ 작성을 주도하여 일본 경찰에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귀국하여 동아일보 사장을 맡았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에 합류하여 제헌국회 의원을 지내면서 헌법을 제정하는 데 관여했다. 한국전쟁 때 북한에 납치되었다.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 곳간채로 이루어진 중농 규모의 남부지방 민가이다. 경사진 땅에 석축을 쌓고 안채를 남향으로 배치하였으며,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앞에는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 서쪽에는 지붕을 나란히 맞대고 있는 3칸의 곳간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옆면 2칸의 一자집이다. 부엌 옆으로 2칸의 방이 있고, 이어서 건넌방과 그 앞에 마루방이 있는 구조이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옆면 2칸으로 一자집이다. 동쪽에서부터 대문간과 사랑대청을 배치하였으며, 그 옆에는 2칸의 방을 두었는데 그 앞뒤로 모두 툇마루를 시설하였다.

근처에는 수원 백씨 문중 사당인 덕산사(德山祠)가 있고, 그 뒤로 백관수 가묘(假墓)*가 있다.


  • 가묘: 시신을 찾을 수 없어 시신 없이 임시로 쓰는 묘

영문

Baek Gwan-su’s House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