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칠곡 중방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21일 (금) 10:1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칠곡중방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830000 칠곡 중방댁],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칠곡 중방댁
칠곡 중방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칠곡 중방댁
한자 漆谷 中芳宅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매원3길 104-2 (왜관읍)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83호
지정일 2020년 12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동(1,802㎡)
웹사이트 칠곡 중방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칠곡 중방댁은 조선 중기 문신 이원록*(李元祿, 1629∼1688)의 8세손인 이승연이 1860년대에 세운 가옥이다. 중방댁의 뒤편으로는 용두산이 마을을 감싸고 있고, 용두산의 양옆에는 죽곡산과 산두산이 있다. 마을 앞에는 농경지와 동정천이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중방댁은 안채, 사랑채, 중사랑채, 광채 4동을 트여 있는 ‘ㅁ’자형으로 배치하고 앞에는 대문채와 마구간을 둔 총 6동의 가옥이었다. 그러나 6·25 전쟁 당시 폭격 등으로 소실되어 현재는 안채와 중사랑채만이 남아 있다. 안채는 정면 8칸, 측면 2칸의 남향 건물이며, 중사랑채는 안채의 앞에 세워진 정면 5칸, 측면 3칸의 동향 건물이다. 중방댁은 조선 후기의 전통 상류주택으로 당시 가옥의 입지와 배치, 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매원마을의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 이원록: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흥(士興), 호는 박곡(朴谷)이다. 조선 인조 7년(1629) 낙촌 이도장의 아들로 태어나 현종 4년(1663)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이천현감, 장연부사 등을 거쳐 예조참판, 대사간,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숙종 6년(1680) 경신출척(庚申黜陟)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며 말년을 보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