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승암사소장불서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5월 17일 (월) 14:19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승암사소장불서
Buddhist Books Kept at Seungamsa Temple
대표명칭 승암사소장불서
영문명칭 Buddhist Books Kept at Seungamsa Temple
한자 승암사소장불서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59
지정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지정일 2006년 6월 16일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수량/면적 3권
웹사이트 승암사소장불서,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승암사는 신라 헌강왕때 도선(道詵)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사찰이다. 근세에는 해안, 만응 대종사들이 주석하면서 한벽선원, 승암강원 등을 개설하여 이 지방 불교계의 학풍을 크게 진작시킨 곳이다.

이곳에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과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등의 불서가 소장되어 있다.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세상에 나타난 근본의 뜻을 밝힌 경전으로, 조선 세종 25년(1443)에 고산 화암사(花岩寺)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금강경의 해석서인 『금강경오가해』는 명종 13년(1558)에 간행한 불서로서 현존하는 판본이 귀하여 불교사적 가치가 크다.

영문

Buddhist Books Kept at Seungamsa Temple

These three Buddhist books kept at Seungamsa Temple include the Lotus Sutra (Saddharmapundarika Sutra) and the Commentaries of Five Masters on the Diamond Sutra.

The woodblock printing of the Lotus Sutra was published in 1443 at Hwaeomsa Temple to pray for the longevity of King Sejong (r. 1418-1450) and the blissful rebirth of the late King Taejong (r. 1400-1418). The Lotus Sutra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Buddhist sutras, and one of its main teachings is that all being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a buddha.

The woodblock printing of the Commentaries of Five Masters on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in 1558 and is a rare extant edition of this book.

Seungamsa Temple is said to have been founded by Doseon (827-898), an eminent Buddhist mon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temple was renowned for publishing Buddhist books.

  • 화엄사 언급? 추가했는데요... 승암사 소장이라고 하고 조선시대에는 대표적인 불서 간행 사찰이었다고 하면, 여기서 간행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텐데, 그것이 맞는 건지?

영문 해설 내용

승암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서는 불교 경전과 일반 불서를 포함한다. 승암사는 통일신라시대의 고승인 도선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조선시대에는 대표적인 불서 간행 사찰이었다.

소장 불서 중 『묘법연화경』은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불교 경전 중 하나이다.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승암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묘법연화경은 1443년 세종의 장수와 태종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하여 간행되었다. 『금강경오가해』는 1558년에 간행된 것으로, 현존하는 판본이 드문 불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