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공주 공산성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23일 (금) 13:2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주 공산성
Gongsanseong Fortress, Gongju
공주 공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공주 공산성
영문명칭 Gongsanseong Fortress, Gongju
한자 公州 公山城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 2번지
지정번호 사적 제12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376,645.3㎡
웹사이트 공주 공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주춧돌을 사용하지 않고 땅에 구멍을 파 직접 기둥을 세운 굴건식((掘建式) 건물터이다. 1990년 발굴 조사로 건물터 2곳과 구덩이 9개를 확인하였다.

이 건물터는 475년에 백제가 웅진으로 도읍을 옮기기 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건물이 세워졌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웅진천도 이전의 공산성 역사를 밝히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지자체 제공 안내판 타이틀 : 공산성 백제 건물지 / 확인 필요>

수정 국문

초고

산성은 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산의 정상부나 사면을 이용해 쌓은 성으로, 쌓은 방식에 따라 목책(木柵), 토루(土壘), 석축(石築) 등으로 구분된다.

공주 공산성은 공주시 산성동에 위치한 산성이다. 해발 110m인 공산(公山)의 정상에서 서쪽의 봉우리까지 에워싼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며, 성의 둘레는 2450m이다. 평면으로는 동서 약 800m, 남북이 약 400m이며 사방에 석벽이 남아 있다. 본래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 중기에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성벽의 부속 시설로는 남문인 진남루(鎭南樓)와 북문인 공북루(拱北樓)가 남아있으며, 적에게 보이지 않게 누각없이 만든 암문(暗門), 성벽을 돌출시켜 쌓은 치성(雉城), 고대(高臺)·장대(將臺)·수구문(水口門) 등의 방어시설도 남아 있다.

공산성은 백제시대 축성된 산성으로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불렸다가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475년(문주왕 1) 한산성(漢山城)에서 웅진(熊津)으로 천도하였다가 538년(성왕 16)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산성을 쌓은 정확한 연대 파악은 어려우나 문주왕 이후 성왕 이전까지 수도 웅진을 수비하기 위하여 여러 성을 쌓았던 동성왕 때로 추측하고 있다.

공산성은 백제시대는 물론 조선시대까지 지방행정의 중심지였다. 곧 백제가 멸망한 직후에는 의자왕이 잠시 거처하였고, 이곳을 거점으로 나당연합군에 대항하는 백제부흥운동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 뒤 822년(헌덕왕 14)에 김헌창(金憲昌)이 일으켰던 반란은 이곳에서 진압되었고, 1623년에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가 잠시 피난하기도 하였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