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천 방초정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24일 (수) 17:0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천방초정.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20470000 김천 방초정],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천 방초정
김천 방초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천 방초정
한자 金泉 芳草亭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상좌원1길 41 (구성면)
지정번호 보물 제2047호
지정일 2019년 12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김천 방초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조선 선조 때 부호군을 지낸 이정복이 1625년(인조 3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그 후 1689년 퇴락한 것을 그의 손자 이해가 중건하고 1736년의 큰 홍수로 유실된 것을 1788년에 가례증해를 저술한 이의조가 3창했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으로, 가운데 온돌방을 설치하고 사방으로 마루를 꾸몄다. 건물 중앙에 온돌방을 설치하는 구성은 호남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이 지역에서는 극히 드문 구성방식이다. 온돌방은 벽이 없이 사면을 창호로 둘렀고, 앞과 뒤로 출입문을 만들었다.

화강암 장대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막돌로 초석을 놓아 기둥을 세웠다. 기둥은 온돌방을 구성하는 네 기둥을 제외하고는 둥근 기둥을 세웠다. 2층으로의 출입은 건물 왼쪽 중앙에 계단을 만들어 이용하였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