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22일 (월) 14:1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감산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jpg |사진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030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한자 甘山寺 石造毘盧舍那佛坐像
주소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6-2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18호
지정일 2000년 9월 4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시대미상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감산사는 통일신라 성덕왕 18년(719)에 중아찬 김지성(金志誠)이 부모의 명복과 국왕 및 그 가족의 안녕을 빌기 위해 세운 절이다.

감산사의 중심 건물인 대적광전(大寂光殿)에 봉안된 불상으로 머리부분과 앞면의 훼손이 심하고 광배와 대좌도 없어진 것을 보수하였다. 머리에는 나발*과 육계*를 낮게 표현하였다. 양손은 파손되었던 것을 지권인*으로 보수하였다. 그 외 신체부위는 원래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데, 어깨가 각이 지고 결가부좌한 양 무릎이 두텁고 넓어서 전체적으로 당당하고 안정된 모습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래의 모습은 알 수 없으나 감산사 창건과 연관지어 8세기 초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우리나라 비로자나불상 중에서는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짐작된다.


  • 나발(螺髮): 소라 모양으로 된 부처의 머리카락
  •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상투처럼 우뚝 솟아오른 혹과 같은 것으로 지혜를 상징한다.
  • 지권인(智拳印) : 두 손 모두 엄지손가락을 손안에 넣고 주먹을 쥔 다음,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펴서 오른손으로 감싸쥐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왼손의 집게손가락 끝을 서로 맞대는 손 모양. 오른손은 부처를, 왼손은 중생을 상징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