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성덕왕릉 귀부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22일 (월) 13:5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성덕왕릉귀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700960000 성덕왕릉 귀부],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덕왕릉 귀부
성덕왕릉 귀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성덕왕릉 귀부
한자 聖德王陵 龜趺
주소 경북 경주시 조양동 666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96호
지정일 1979년 1월 25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귀부이수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성덕왕릉 귀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통일신라 성덕왕(재위 702∼737)의 능 앞에 세웠던 비석의 받침이다. 성덕왕은 신문왕(神文王)의 둘째 아들로, 형인 효소왕(孝昭王, 재위 687~702)이 아들이 없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비몸[碑身]과 머릿돌[螭首]은 모두 없어지고 이 받침돌만 남아 있다. 받침돌의 거북은 목이 부러졌으며, 앞·뒷발에는 발톱을 새겨 놓았다. 등에는 6각형 무늬를 새겼으며, 중앙에 비몸을 꽂았던 네모난 홈이 있다. 거북의 등에 새긴 무늬나 다른 덩굴무늬를 통해 8세기 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경덕왕 13년(754)에 만들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성덕왕릉은 통일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왕릉으로 십이지을 비롯하여 석인(石人)·석수(石獸)를 갖춘 우리나라 최초의 예로서 매우 주목되는 능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