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랑터(익산 미륵사지)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12일 (금) 19:08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회랑터 回廊址
Corridor Site
Goto.png 종합안내판: 익산 미륵사지



해설문

국문

회랑은 중요한 건물 또는 공간을 둘러싼 복도 형태의 긴 건물로 회랑을 통해 신성한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한다. 미륵사는 삼원가람(三院伽藍)의 형태로 다른 사찰과는 달리 동원 ‧ 중원 ‧ 서원을 모두 에워싸는 회랑이 있다. 삼원의 남쪽에 ―자 형태로 만들어진 건물터에는 각 원의 금당과 탑의 중심축과 같은 위치에 3개의 계단과 중문을 만들었다. 남회랑의 동서 길이는 172m이고, 중원의 동‧서회랑의 길이는 82.5m, 북회랑의 길이는 73.2m이다. 동원과 서원의 동‧서회랑의 길이는 각각 77.1m이며, 북회랑의 길이는 각각 14.7m이다. 각 회랑의 폭은 6.7m 내외이다. 중원의 중문 동서길이는 길이 19.2m, 남북 폭은 8.4m로 추정되고, 동원과 서원의 중문은 각각 동서길이 12.3m, 남북폭 7.9m 이다.


영문

Corridor Site

A corridor is long and narrow structure, which was built in Buddhist temples to separate the sacred area of the temple from the outside.

This is the site of Mireuksa Temple’s corridor. This corridor surrounded all three worship areas (eastern, western, and central) of the temple altogether, and also separated the central area from the rest of the temple**. The southern section of the corridor formed a long rectangular which measured 172 m in length and had three built-in sets of stairs and inner gates, each leading to one of the three worship areas. ***The lengths of the eastern, western and northern sections of the corridor that surrounded the central worship area measured 82.5 m, 82,5 m, and 73.2 n, respectively. The lengths of the eastern, and northern sections of the eastern worship area, as well as the western and northern sections of the western worship area measured 77.1 m and 14.7 m, respectively. All sections of the corridor measure 6.7 m in width. The central inner gate measures 19.2 m in length and 8.4 m in width, while the eastern and the western inner gates measure 12.3 m in length and 7.9 m in width, each.

  • corridor로 할지, corridor building으로 할지? – Lyndsey
    • I added this part, based on the explanation below.
      • I think the following part about the lengths of different section will be a bit difficult to comprehend without any visual information, no matter how we phrase it. Do we still need it?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