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합천 원모재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1월 9일 (토) 00:2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합천원모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6470000 합천 원모재],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원모재
합천 원모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원모재
한자 陜川 遠慕齋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소례2길 22 (청덕면, 제실)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47호
지정일 2018년 7월 5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동(985㎡)
웹사이트 합천 원모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 소례 마을은 가선대부(嘉善大夫) 농암 김득상(壟庵 金得常)이 병자호란 이후 정착하여 지금까지 경주김씨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원모재는 김득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후손인 김위집(金煒集)과 김여량(金汝良)이 1861년에 세운 경주 김씨 문중의 재실이다. 1928년에 기존의 낡은 건물을 철거하고 지금의 앞면 4칸, 옆면 3칸 규모의 건물을 건립하였다. 원모재는 일제강점기 이후의 우리나라 근대 한옥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원모재는 소례마을의 경주김씨 입향조인 김득상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문중의 재실이다.

김득상은 1636년의 병자호란 이후 이 마을에 정착하였으며, 이후 마을은 경주김씨의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이곳은 후손인 김위집과 김여량의 주도로 1861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1928년 허물어진 기존 건물을 철거한 후 지금의 건물을 새로 지었다.

건물의 기본 구조는 중앙에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고, 전면에는 툇마루를 단 형태이다. 원모재는 일제강점기 이후 지어진 근대 한옥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 문화유산포털 사진상 건물 뒤쪽이 특이해 보이는데 구체적인 사진이나 관련 정보가 전혀 없어 설명 어려움 – 추후 보완 필요함.
  • 인물 정보 검색 어려움.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