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진주 허추 부부 묘 석물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29일 (일) 21:3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진주허추부부묘석물.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6230000 진주 허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허추 부부 묘 석물
진주 허추 부부 묘 석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허추 부부 묘 석물
한자 晉州 許錘 夫婦 墓 石物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산 2-3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23호
지정일 2018년 4월 12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9점/567.5㎡
웹사이트 진주 허추 부부 묘 석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허추 부부 묘 석물은 허추*(1455~1521)와 부인 진양강씨*(1460~1525)의 무덤에 있는 석물이다.

석물은 묘비 2, 상석 2, 망두석 3, 향로석 2점으로 9점이 있다.

조선 시대 전기의 무덤이지만 『오례의』*나 『국조오례의』 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장엄적 요소가 특이하다.

석물들의 화려함이 예술적 가치를 더하고 임진왜란 이전의 묘제(墓制)와 상례(喪禮)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


  • 허추 : 자(字)는 평중(平仲), 본관은 김해, 참봉을 지냈다. 김해허씨로 지수에 처음으로 들어와 터를 잡았다.
  • 진양강씨 : 이조판서 강숙경(姜叔卿)의 딸이다.
  • 오례의(五禮儀) : 조선 세종대에 편찬에 착수하고, 세조대에 완성한 예서.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의 오례 가운데 실행해야 할 것을 뽑아 도식(圖式)으로 엮었다. 8권 8책으로 1474년(성종 5년)에 간행되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진주 지수면의 김해허씨 입향조인 허문손의 아들 허추(1455-1521)와 부인 진양 강씨(1460-1525)의 무덤 앞에 있는 석물들이다. 총 9점으로 묘비 2점, 상석 2점, 망주석 3점, 향로석 2점이 있다.

위에 있는 것이 허추의 무덤이며, 봉분 앞에는 묘비, 망주석, 상석, 향로석 1기씩이 있다. 묘비는 1522년에 세워졌으며, 머릿돌에 연잎과 연꽃 봉우리가 장식되어 있다. 비문은 조순(1467-1529)이 지었다.

아래쪽 진양 강씨의 묘 오른편에는 묘비가 있고, 앞에는 상석, 향로석 1기와 망주석 1쌍이 세워져 있다. 묘비는 1527년 세워졌고 정사룡(1491-1570)이 비문을 지었는데, 거북 모양의 바닥돌 위에 몸돌을 세우고 학과 연꽃으로 장식한 머릿돌을 올렸다. 서로 마주하고 서있는 망주석은 바닥돌을 사자를 모양으로 조각했다.

상석은 두 무덤의 형태가 유사하다. 전면에 목가구에서 활용되는 문양들이 조각되어 있고 전면 중앙 아래쪽에는 사각형 홈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은 향합을 넣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 부인 묘 오른쪽 석물 중 봉분에 가장 가까운 것이 문안에 설명되어 있는 원래의 묘비이며, 망주석과 묘 사이에 있는 묘지석은 후대에 세운 것으로 보임.
  • 허추 묘 앞에 있는 망주석은 짝을 맞추기 위해 후대에 왼쪽 것을 새로 세운 것으로 보임.
  • 두 봉분 위쪽에도 무덤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누구의 무덤인지는 확인 필요함.
  • 부부의 묘에 세워져 있는 석물들은 다른 무덤의 묘제와 비교했을 때 장식적 요소가 많고, 형태도 특이해 임진왜란 이전의 묘제(墓制)와 상례(喪禮) 연구 자료로 가치가 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