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2일 (월) 18:35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Hanging Painting of Yongheungsa Temple (Buddha Triad)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영문명칭 Hanging Painting of Yongheungsa Temple (Buddha Triad)
한자 龍興寺 三佛會 掛佛幀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 722
지정번호 보물 제1374호
지정일 2003년 4월 14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은 조선 숙종 10년(1684)에 인규 등 승려 5명이 그렸다. 괘불이란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불교 행사에서 법당 앞에 걸어 놓는 커다란 그림을 말한다. 이 그림은 석가모니불이 아미타불, 약사여래불과 함께 영취산에서 보살, 제자들에게 설법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17세기 괘불탱 가운데 조성 시기가 빠른 편이고 보존 상태가 좋다. 또 17세기 괘불탱의 전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는 한편 독특한 점도 가지고 있어서 연구 가치가 높다.

화면은 상중하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석가모니 삼존불을 크게 그리고 석가모니불에서 뻗어나오는 빛줄기를 표현하였다. 상단에는 서·북방천왕, 타방불, 10대 제자 등을 그리고, 하단에는 다른 보살들과 동·남방천왕을 그렸다. 인물의 배치와 장식적인 부분들까지 완벽하게 좌우대칭을 이루어 형식적인 면이 엿보인다. 석가모니불의 정수리 위에는 둥근 육계(肉髻)가 있는데 이것이 뾰족하게 표현되었으며, 오른손을 길게 뻗어내리고 새끼손가락을 살짝 벌린 모습이다. 이는 17세기 전반 괘불탱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한편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은 화면 구성이 독특하고 세련된 필선으로 인물을 묘사하고 화사한 색채를 사용하여 활기를 주는 등 다른 17세기 괘불탱들과는 다르다.

영문

Hanging Painting of Yongheungsa Temple (Buddha Triad)

Hanging banner paintings were displayed outdoors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the Buddha’s birthday, outdoor rites, and the funerals of eminent monks.

This painting was made in 1684 by 5 painter-monks including monk Ingyu. It depicts the scene of Sakyamuni Buddha giving a lecture at Vulture Peak together with Amitabha (the Buddha of the Western Paradise) and Bhaisajyaguru (the Medicine Buddha). The depiction of these three buddhas symbolizes the people’s wish for long life without pain and suffering, as well as their rebirth in the Western Paradise after death.

The painting consists of three sections with the Buddha triad depicted in the middle. The three buddhas are portrayed larger than other figures on the painting. Seven rays emanating from Sakyamuni Buddha’s head and shoulders represent an auspicious light radiating from his body. The figures depicted above the triad include two of the Four Guardian Kings (kings of the west and north), ten principal disciples of the Buddha, Wrathful Guardians, guardian deities, and other buddhas. The figures below the triad are six bodhisattvas and the remaining two of the Four Guardian Kings (kings of the east and south). Although the costumes, the positions of the bodies, and the colors used for each figure slightly differ from each other,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painting creates almost perfect left-right symmetry. Bright and rich colors combined with the skillful brushwork give the painting a vibrant mood.

영문 해설 내용

괘불은 사찰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야외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데 쓰였다.

이 그림은 석가모니불이 아미타불, 약사여래불과 함께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으로, 1684년에 인규 등 승려 화가 5명이 그렸다. 세 부처가 모인 모습을 통해 사람들은 살아서는 질병의 고통없이 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했다.

화면을 3단으로 구분하여 중앙에는 석가모니 삼존불을 크게 그리고, 석가모니불의 머리와 어깨 쪽에는 부처의 몸에서 뻗어 나가는 7개의 빛줄기를 표현하였다. 상단에는 사천왕 중 2위(서·북방천왕), 10대제자, 금강역사, 신중, 타방불 등을 그리고 하단에는 여섯 보살과 사천왕 중 2위(동·남방천왕)를 배치하였다. 각 인물에 따라 복식, 자세와 지물, 색채 등이 약간씩 다를 뿐, 인물의 배치, 구름 모양과 색채 등이 거의 완벽하게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밝고 화사한 색채의 사용과 세련된 필선으로 활기가 느껴진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