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석굴암 석굴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6일 (토) 16:4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석굴암석굴.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240000 경주 석굴암 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석굴암 석굴
Seokguram Grotto, Gyeongju
경주 석굴암 석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석굴암 석굴
영문명칭 Seokguram Grotto, Gyeongju
한자 慶州 石窟庵 石窟
주소 경북 경주시 불국로 873-243, 석굴암 (진현동)
국가유산 종목 국보 제24호
지정(등록)일 1962년 12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경주 석굴암 석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석굴암 석굴은 신라의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건축물이자 조각이다. 경덕왕 10년(751)에 만들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 완성한 석굴사원이다.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 불렀다. 신라 경덕왕 때 재상이었던 김대성(金大城, 700?~774)이 현생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를 건립하였다고 한다.

인도나 중국의 석굴 사원이 자연 암벽을 파고 들어가 만든 것과 달리 다듬은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인공석굴이다. 우리나라 화강암은 단단해서 정으로 쪼아 석굴을 만드는 일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돌을 쌓아 석굴을 만든 것이다.

앞쪽의 입구가 되는 전실(前室)과 본존 불상을 모신 주실(主室), 이를 연결하는 통로로 구성되었다. 전실 바닥은 사각형이고, 주실은 원형이며 천정은 돔(dome) 모양이다. 전체 벽면에는 모두 40개의 조각상이 위계(位階)*에 맞게 배치되어 있는데, 감실(龕室)*에 봉안했던 2구가 없어 현재 38구가 남아있다. 네모난 전실에는 팔부신장상을, 통로에는 입구에 금강역사상과 사천왕상을 새겼다. 주실에는 원형으로 돌아가는 벽면에 천부상, 보살상, 십대제자상이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되었고, 제일 안쪽에는 십일면관음상이 있다. 주실의 벽과 천정 사이에 10개의 감실이 있고 감실마다 다양한 형상의 보살상을 안치했는데, 지금은 8구만 남아 있다. 둥근 주실의 중심에서 약간 뒤쪽으로 여래좌상을 봉안하였다. 앉은 대좌를 합치면 높이가 5m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로 불상의 머리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두광(頭光)은 별도로 만들어 뒷벽에 배치하였다. 불상을 바라볼 때 두광 안에 불상의 머리가 정확히 맞춰지는 지점이 불상을 바라보는 적절한 장소가 된다.

석굴암의 독창적이고 정밀한 설계와 조각상에 나타나는 원숙한 조각 기법과 사실적인 표현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꼽힌다. 이러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1995년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위계(位階) : 벼슬의 품계나 지위, 계층의 등급
  • 감실(龕室) : 불교·유교·가톨릭 등 종교에서 신위(神位) 및 작은 불상·초상, 또는 성체(聖體) 등을 모셔둔 곳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