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산 하양 육영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11일 (금) 14:3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산하양육영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701790000 경산 하양 육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산 하양 육영재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산 하양 육영재
한자 慶山 河陽 育英齋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지정번호 경상북도 기념물 제179호
지정일 2020년 7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棟
웹사이트 경산 하양 육영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경산 하양 육영재는 조선 순조 23년(1823)에 하양 현감 이태승(李台升)이 세운 향교의 부속 학당이다. 하양 유림들의 기부금 등을 모아 환성사(環城寺)에 있던 안양실을 옮겨 와 세웠다. 육영재는 향교에서 선발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여 과거에 응시하게 하고 상급 학교인 성균관에 진학시키고자 건립한 양사재*이다.

양사재는 주로 관청의 주도로 향교 안에 지어졌으나 하양 육영재는 하양 향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7호)와 가까운 곳에 독립적으로 세워졌으며 민관이 함께 운영하였다. 건립 비용과 학자금도 관청의 경제적 지원 없이 유림들이 기증한 논밭과 성금, 각 면별로 육영계(育英契), 보인계(輔仁契)를 만들어 충당하였다.

이 건물은 전체적으로 ‘ㅁ’자형으로 되어 있다. 대문을 지나서 보이는 정면에는 공부하는 공간인 청사(廳事)가 있고, 왼쪽에는 살림을 담당하는 포사(庖舍), 오른쪽에는 창고와 화장실이 있다.

경산 하양 육영재는 건립 역사와 그동안 운영해 온 실태를 기록한 『하양 육영재지(河陽 育英齋誌)』, 관련 문서, 현판 등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지방에서 이루어진 인재 교육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서 높이 평가된다.


  • 양사재: 향교, 서원과 함께 선비를 양성하는 조선 후기 지방 교육 기관으로 낙일재, 양사당, 육영재, 흥학당 등이 이에 포함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