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강세황 유묵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29일 (토) 18:0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강세황유묵.jpg |사진출처=정재호 기자, [http://kbcnews.co.kr/coding/news.aspx/1/1/10509 '표암 강세황의 유묵' 경남 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세황 유묵
정재호 기자, '표암 강세황의 유묵' 경남 도유형문화재로 지정, 경북문화재신문, 2017.12.14. 기사.
대표명칭 강세황 유묵
한자 姜世晃 遺墨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범평리 406
국가유산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22호
지정(등록)일 2017년 12월 4일
분류 유물/일반회화/기록화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강세황 유묵,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이자 화가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1713~1791)이 남긴 글씨이다. 16세기 후반 강심(姜深)이 쓴 ‘임계정시(臨溪亭詩)’와 김행(金行)의 시를 적었다.

강세황은 시·서·화의 삼절(三絶)이라고 불릴 정도로 글과 그림에 능했던 인물이다. 남종화풍을 정착시키고, 진경산수화를 발전시킨 당대 예술계의 총아로 단원 김홍도와 자하 신위의 스승이었다. 어릴 적부터 재주가 뛰어났지만 집안이 몰락하면서 학문과 서화에만 전념해 환갑이 되어서야 벼슬을 얻어 한성부 판윤을 지냈다.

‘임계정시’는 강심이 감암산 아래 설매마을에서 유유자적한 만년의 삶을 노래한 시이다. 그는 진주에 대대로 살고 있는 진주 강씨 은열공파의 후손으로 강세황에게는 윗대 할아버지가 된다.

김행의 시는 ‘임계정시’에서 운자(韻字)를 따서 지은 것으로 세상사를 떠나 자연과 하나가 되는 삶을 읊조린다. 모두 《진양강씨세고(晉陽姜氏世稿)》임계공실기(臨溪公實記) 편에 실려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화가였던 강세황(1713-1791)의 글씨이다.

16세기 후반에 강심(姜深)이 쓴 ‘임계정시(臨溪亭詩)’와 강심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김행(金行)의 시를 적었다.

강심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강덕룡(1560 -1627)의 아버지로, 강세황의 선조이다.

‘임계정시’는 강심이 감암산 아래 설매 마을에서 유유자적하게 보내는 만년의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 유묵은 경기도 박물관에 소장된 ‘표암유채첩’(보물 제1680호)과 함께 강세황의 가장 말년의 작품으로서 의미가 있다.

이 글씨는 현재 1998년 폐교된 초등학교의 건물을 활용해 개관한 미리벌 민속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은열공파(殷烈公派)의 중흥시조 강민첨(姜民瞻)은 인헌공파의 파조 강감찬과 더불어 귀주대첩의 전공으로 고려사에 크게 무훈을 떨친 명장이다. 은열공파에서는 강백년(姜栢年), 강현, 강세황(姜世晃)의 3대(代)와 강노(姜老)가 유명하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