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19일 (수) 02:4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소재사목조지장보살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2200440000 소재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
한자 消災寺 木造地藏菩薩坐像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용리 4
지정번호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4호
지정일 2006년 4월 20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보살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소재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명부전에 모셔져 있다. 명부전에는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명부시왕, 판관, 녹사, 사자, 장군, 동자상 등이 봉안되어 있다. 복장기(腹藏記)*에는 현종 15년(1674)에 이 불상을 조성하고 영조 17년(1741)에 중수(重修)·개금(改金)했다는 기록이 전하는데, 2000년에도 한 차례 개금하여 현재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불상의 형상은 중생을 굽어 살피는 듯 머리를 숙이고 있으며, 민머리에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아울러 겉옷이 양 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식(通肩式)의 복장을 하고 있다. 한편 수인(手印)*은 두손을 모두 무릎 위에 올렸고 왼손은 손가락을 위로, 오른손은 손가락을 아래로 하여 엄지와 중지를 잡는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불상은 목조금칠 지장보살좌상으로는 그 규모가 크고 웅장하며 조선 중기에 만든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전기의 양식을 일부 간직하고 있다.


  • 복장기(腹藏記) : 불상 내부에 넣은 불상을 만든 연대나 이유, 참여자 등을 기록한 문서
  • 삼도(三道) : 목에 표현된 세줄기 주름
  • 수인(手印) : 모든 불·보살의 약속을 나타내는 손의 모양
  • 하품중생(下品中生) : 아미타불이 취하는 9가지의 수인 중 하나.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원하며, 모든 중생을 구원할 때까지 성불을 미루는 보살인 지장보살을 표현한 것이다.

1674년 조성되었으며 1741년 불상 표면에 다시 금을 칠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지만,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불상은 손가락을 맞댄 양손을 무릎 위에 두었는데 오른손은 아래를 향하고 왼손은 위를 향하고 있다. 민머리를 하고 있으며, 목에는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중생이 걷게 되는 세 가지의 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세 개의 주름이 새겨져 있다.

명부전에는 이 불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시왕상, 판관상 등의 여러 권속들이 함께 모셔져 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