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9일 (화) 13:2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Bongseosa Temple, Seocheon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영문명칭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Bongseosa Temple, Seocheon
한자 舒川 鳳棲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주소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호암리 195
지정번호 보물 제1751호
지정일 2012년 2월 22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이 불상들은 중앙에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를 본존으로 하고 왼쪽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오른쪽에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좌우에서 협시하는 아미타삼존의 형식을 하고 있다.

아미타불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발원문(發願文)을 통해 정확한 조성시기와 조성주체, 시주자 등 조성과 관련된 기록이 전해진다. 이 삼존상은 1619년에 완성되었으며, 17세기 전반에서 중반까지 활동한 수연(守衍)이라는 조각승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는 여러 불상들을 제작하였는데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그의 초기 조각적 경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이 삼존상은 17세기 전반기에 추구했던 대중적 평담미와 수연이 추구한 중량감 있는 형태미를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1차 수정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양옆에서 협시하는 삼존불이다. 아미타여래는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이 삼존상은 1619년에 완성되었으며,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수연(守衍)이라는 승려 조각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수연이 제작한 여러 불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그의 초기 조각적 경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이 삼존상은 17세기 전반기에 추구했던 대중적 평담미와 수연이 추구한 중량감 있는 형태미를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참고자료

  • 최선일, 「17세기 전반 조각승 수연의 활동과 불상 연구」, 󰡔동양미술사학󰡕 8, 동양미술사학회, 2007.
  •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舒川 鳳棲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23417510000#

  •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舒川鳳棲寺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4%9C%EC%B2%9C%20%EB%B4%89%EC%84%9C%EC%82%AC%20%EB%AA%A9%EC%A1%B0%EC%95%84%EB%AF%B8%ED%83%80%EC%97%AC%EB%9E%98%EC%82%BC%EC%A1%B4%EC%A2%8C%EC%83%81&ridx=0&tot=5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