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태안향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6일 (일) 05:1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태안향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401390000 태안향교], 국가문화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안향교
태안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태안향교
한자 泰安鄕校
주소 충청남도 태안군 백화1길 7 (태안읍)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
지정일 1997년 12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1동/3,047㎡
웹사이트 태안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향교는 고려 때부터 지방에 세운 교육기관으로 조선시대에는 전국의 모든 고을에 세워졌다. 향교를 통해 유교를 알리고 인재를 길러야 했으므로 나라에서 향교에 땅과 노비, 책 등을 주었고, 고을의 수령(군수)이 정성껏 관리하였다. 태안향교의 건물은 공자 등 중국과 우리나라의 유학자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명륜당, 학생들이 거주하는 동재‧서재가 있다.

태안향교가 언제 건립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조선 초기에는 ‘몇 칸의 초가집’인 어려운 형편이었다가 1413년(태종 13) 사장동(현 동문리 샘골)에 새로 건립하였다. 그 후 향교 자리에서 뱀과 호랑이가 나타나 현 태안중학교 자리로 이전하였는데 화재로 불타버리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향교의 대들보에 쓰인 상량문에는 1720년(숙종 46)에 건물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향교에서는 유교 경전과 역사를 배우고 글쓰기도 익혔다. 천민만 아니면 누구나 교육생이 될 수 있었지만, 조선 후기로 갈수록 양반 신분이 독차지했고, 태안향교의 교생 정원은 30명에서 점차 늘어 50명까지 되었다.

향교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석전대제라는 큰 제례를 올린다. 태안향교는 제례와 함께 유림의 날 행사를 진행하여 유교의 전통을 지켜나가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