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금호재
창녕 금호재 0 |
|
대표명칭 | 창녕 금호재 |
---|---|
영문명칭 | 0 |
한자 | 昌寧 琴湖齋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265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
지정(등록)일 | 1988년 12월 23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창녕 금호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금호재는 금헌 이장곤(琴軒 李長坤)의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용흥사의 부속 건물을 1966년에 이곳으로 옮겨와서 이장곤의 제사 건물로 삼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장곤은 조선시대 문신(文臣)으로, 조선 중종(1506~1544 재위) 때 병조판서*로서 기묘사화에 가담하였으나 관직에서 쫓겨났다. 이후 다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자연을 즐기다 창녕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로, 전체적으로는 ‘ㅁ’자형 배치를 하고 있다. 지붕은 옆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며 대청과 온돌방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방의 출입문은 기능적인 면과 장식적인 면 모두를 갖춰 실용성이 돋보인다.
- 병조판서 : 조선 시대에 둔, 군사와 역에 관한 일을 맡은 병조의 으뜸 벼슬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 문신 이장곤(1474~1519)의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이장곤은 1519년 사화(기묘사화)에 가담하였다가 입장을 바꾸면서 관직에서 쫓겨났다. 이후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은거하다가 창녕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이 건물이 언제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7세기에 창녕군에 있었던 용흥사라는 절의 부속 건물을 제사를 위한 건물로 쓰기 위해 옮긴 것이라고 전한다. 두 차례의 이건 끝에 1966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를 잡았으며, 이 때 경내에 있는 대문 등의 부속 건물들을 새로 지었다.
완만한 경사가 있는 대지에 위치했으며, 높은 곳에 담장을 쌓아 분리시킨 공간 안에 강당을 두었다. 강당의 중앙에는 대청을 내고 양쪽 끝에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온돌방 앞으로는 툇마루가 있다.
인근의 북동쪽 야산 기슭에 이장곤의 묘소가 있다.
- 건물의 건립시기 언급 애매 : 용흥사는 17세기에 있었다고 하는데, 건물 공포에는 ‘병오년’이라고 되어 있고, 상량문에 1886년이라고 남아있음. 17세기에 지어진 건물을 1886년에 보수한 것으로 판단되나 개인적 추측이므로 내용에 포함시키지 않았음.
- 이장곤은 1695년 연암서원에 배향되었으나, 연암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라졌다고 함. 용흥사에 대한 언급에서느 1695년이라는 년도가 많이 등장하는데, 둘 사이를 연관지어 설명하는 것은 근거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내용에 포함시키지 않았음.
- 금호재는 완만한 경사가 있는 대지의 높은 곳에는 강당을 두고 맞은편에 솟을삼문을 두고 좌우측에는 동·서재를 두어 튼 口자형으로 배치하였다. 강당과 동·서재 사이에 담장을 쌓아 두 공간을 분리하였으며 출입은 작은 협문(由正門)으로 하고 있다. 재실의 우측에는 사당을 세워 서원으로 발전하여 현재의 강당은 금호재에서 금호서원으로 바꾸었다.
참고 자료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1,02620000,38&pageNo=1_1_1_0
- https://blog.naver.com/cngblog/22132058718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698 - 이장곤생애
- 문화콘텐츠닷컴 - 이장곤의 처가(천민 집안) 관련 이야기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0616&index_id=cp06160160&content_id=cp061601600001&search_left_menu=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