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0일 (금) 01:3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합천치인리마애여래입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02220000 합천 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Rock-carved Standing Buddha in Chiin-ri, Hapcheon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영문명칭 Rock-carved Standing Buddha in Chiin-ri, Hapcheon
한자 陜川 緇仁里 磨崖如來立像
주소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85 (치인리)
지정번호 보물 제222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자연석을 이용하여 돋을새김을 한 마애여래상이다. 머리는 나발(螺髮)이고 육계(肉髻)가 크게 표현되어 있으며, 얼굴은 살이 많이 올라 있으나 이마가 좁고 인중이 짧아 둔중한 느낌이다. 착의법은 양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으로 가슴에는 사선상(斜線狀)으로 속옷인 승각기와 치마를 묶은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옷 주름이 평면적이기는 하나 신체가 당당하고 균형을 잃지 않은 뛰어난 불상이다.

제작시기는 형식화된 경향과 가슴의 매듭 형태가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 등과 유사하여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로 추정된다. 불상 높이는 580㎝, 너비는 310㎝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마애여래입상은 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석을 이용해 7.5m 높이로 새겨진 불상의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고,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오른손은 어깨로 들어 올리고, 왼손은 검지와 중지를 구부려 가슴에 대어 손등을 보이고 있는데, 손가락이 특히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머리 뒤로는 광배를 표현했다.

가야산 중턱 중봉에 있다 해서 '중봉 마애불'로도 불린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해인사의 지형이 마치 물위에 떠가는 배의 형국이며, 이 마애불이 배의 선장 역할을 한다고 한다.

  • 고리로 매듭 짓는 착의법이 독특하다 -> 라는 설명이 있지만, 왜 특징이 되는지 모르겠음


참고 자료

문화재정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2220000,38&pageNo=1_1_1_0# 합천문화원 http://hapcheon.kccf.or.kr/home/main/history.php?conf_kccf_addr=hapcheon&menuinfo_code=culture&CULTURE_IDX=1366 : 마애불 전설 언급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14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