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사 건륭37년명동종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2월 9일 (일) 03:3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수다사건륭37년명동종.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4350000 수다사 건...)
수다사 건륭37년명 동종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hirty-Seventh Geollyung Year” |
|
대표명칭 | 수다사 건륭37년명 동종 |
---|---|
영문명칭 |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hirty-Seventh Geollyung Year” |
한자 | 水多寺 乾隆37年銘 銅鍾 |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산 12 |
지정(등록) 종목 | 문화재자료 제435호 |
지정(등록)일 | 2003년 3월 3일 |
분류 |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수다사 건륭37년명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수다사 건륭37년명 동종은 건륭 37년(1722)이라는 명문(銘文)*이 있어 제작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용뉴(龍鈕)라고 불리는 종의 맨 위 용의 모습을 한 고리에는 쌍룡이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종의 몸체에는 서 있는 보살을 네 곳에 배치하였다. 조선 중기에 만들어진 범종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수다사 건륭37년명 동종은 형태, 크기, 문양 면에서 조선시대 범종 가운데 우수작에 속한다.
- 명문(銘文): 금속 또는 돌에 새긴 글씨
영문
Bronz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hirty-Seventh Geollyung Year”
영문 해설 내용
불교 사찰에서 범종은 의식을 행할 때 사람들을 모으거나 시각을 알릴 때 사용한다.
수다사에 있는 이 종은 1722년에 만든 것이다. 종의 꼭대기에는 두 마리 용의 머리가 서로 연결되어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게 되어 있고, 용은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다. 종 가운데에는 보살입상이 네 곳에 배치되어 있다. 보살상 사이 9곳에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 종의 조성 시기와 참여자 등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범종 중 형태, 크기, 문양 면에서 매우 우수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