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묘법연화경(수능엄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9월 15일 (금) 08:1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묘법연화경
한자 妙法蓮華經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남로 754-16 (녹산동)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지정일 2021년 1월 27일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책
웹사이트 묘법연화경,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부산광역시 강서구 수능엄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묘법연화경』은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하나로,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집약한 천태종의 근본 경전이다. 흔히‘법화경’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5세기 초 인도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수능엄사에 있는 『묘법연화경』은 성종 8년(1477)에 서평군 한계희(韓繼禧)의 일족이 발원하여 불명산 화암사(花岩寺)에서 간행한 것으로, 세종 25년(1443)에 동일 간행처인 화암사에서 개판(開板)*한 판본을 번각(飜刻)**한 번각본이다.


  • 개판(開板): 출판물을 처음으로 찍어 냄.
  • 번각(飜刻): 한 번 새긴 책판을 본보기로 삼아 그 내용을 다시 새김.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는 경전이다.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한국에서는 406년 구마라집(344-413)이 한역한 것이 주로 간행, 유통되었다.

수능엄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묘법연화경』은 조선시대의 문신 한계희(1423-1482)의 일족이 발원하여 1477년 완주 화암사에서 간행하였다. 1443년에 화암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토대로 목판을 다시 새겨 간행하였다.